보내는 기사
중증환자 못 받는 응급센터… 수도권은 병실, 비수도권은 의사 없어서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비수도권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전문의가 부족해 중증 응급환자가 치료를 받지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옮겨지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지난해 응급환자 10명 중 1명을 전원시켰는데, 이 비율은 전국에서 응급환자가 가장 많은 경기보다 3배 가까이 높다.
11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2020년 5년간 전국 38개 응급센터를 찾았다가 타 병원으로 옮겨진 3대 중증 응급환자(심근경색·뇌졸중·중증외상)는 2만6,848명이다. 이들 전원 환자의 25.7%(6,899명)는 병실이 부족하거나 응급수술이 어렵다는 이유로 전원됐다. 나머지는 환자나 보호자 사정으로 전원한 경우 등이었다.
응급환자 전원 이유는 지역별로 편차가 있었다. 수도권 응급센터는 시설 부족으로 전원되는 사례가 많은 데 비해 비수도권은 응급수술 불가나 전문 응급의료가 필요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례가 많았다.
지난해 전국에서 전원율(9.7%)이 가장 높았던 전남의 경우 전원 환자 541명 중 263명(48.6%)이 처치가 어렵다는 이유로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다. 시설 부족 때문에 전원된 경우는 없었다. 반면 지난해 응급환자가 2만1,803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던 경기도는 전원율(3.4%)이 전남의 3분의 1 수준이었고, 전원 환자 734명 가운데 처치를 받을 수 없어 다른 곳으로 이송된 사례는 116명(15.8%)으로 시설 부족에 따른 전원 사례(163명, 22.2%)보다 적었다. 서울은 시설 부족에 따른 전원 비율이 46.7%로, 처치 불가(10.1%)보다 4배 높았다.
김 의원은 "비수도권은 응급센터 13곳에서 부족한 전문의 수가 30개 진료과 총 52명에 이를 만큼 의료 공백이 심각하다"면서 "응급센터에 전문의가 없어 전원한다는 것은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을 그만큼 많이 놓친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2011년 전남과 함께 국내 최초로 닥터헬기(응급의료 전용헬기)를 도입한 인천에서 닥터헬기의 출동 요청이 두 번에 한 번꼴로 기각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인천 닥터헬기 출동 요청은 1,365건이 접수됐으나 출동은 53%(724건)만 이뤄졌다. 나머지 641건은 출동이 기각됐거나 중단됐는데, 그 사유는 △기상적 요인 335건(52.3%) △환자 사망 등 의학적 요인 119건(18.6%) △임무시간(일출 후~일몰 전) 부족 108건(16.8%) 등이었다.
허 의원은 "응급의료 취약지역 환자의 이송률을 최대한 높이려면 닥터헬기 24시간 운항, 소방·해양경찰 헬기 등 육·해상 응급체계 구축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