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생체 간이식 100% 생존 시대 열었다

입력
2021.10.07 18:02
수정
2021.10.07 18:08
0면
구독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 생체 간이식 생존율 99% 기록

김경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담도폐쇄증으로 2년 전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았던 어린이 환자를 진찰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김경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담도폐쇄증으로 2년 전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았던 어린이 환자를 진찰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어린이에게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담도 폐쇄와 급성 간부전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간이식이다. 특히 간경화가 진행됐다면 간이식이 아니면 소생할 방법이 없다.

어린이 간이식은 성인보다 수술이 까다롭고, 수술 부위가 상대적으로 작아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다. 간이식 직후에는 어린이 중환자실에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관리가 뒷받침돼야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은 1994년부터 시행한 287건의 어린이 생체 간이식 수술에 대한 기간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시행한 어린이 생체 간이식 생존율이 99%로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최근 10년간 시행된 93건의 어린이 생체 간이식에서 악성 간세포암 재발에 의한 사망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생존하면서 99%의 높은 생존율을 기록했다. 국내 어린이 생체 간이식 10년 누적 생존율은 85% 수준으로 알려졌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생체 간이식을 받은 287명의 10년 기간별 생존율을 살펴보면 1994~2002년(81건) 80%, 2003~2011년(113건) 92%, 2012~2021년(93건) 99%로 나타났다.

생체 간이식 시행 원인으로는 담도폐쇄증(52%)이 가장 많았고, 급성 간부전(26%), 기타 간질환(11%)이 뒤를 이었다.

수혜자와 기증자 사이의 혈액형 조합은 대부분 적합했고, 4%(11명)에서 ABO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았다.

기증자는 부모가 90%로 대부분이었고, 형제자매가 8%로 나타났다. 간이식 기증자 수술의 안전성이 입증된 만큼 전체 어린이 생체 간이식에 대한 기증자 사망은 단 한 건도 없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지금까지 시행한 전체 뇌사자 기증 어린이 간이식 수술은 113건이다.

어린이 간이식 생존율은 간이식 시행 전 어린이 환자의 면역과 영양 상태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식 전후 소아과 전문의의 집중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수술 방식도 간문맥이나 간동맥 등 특정 혈관 부위에 특화된 전문 집도의들이 투입돼야 한다.

어린이는 체중이 적어 기증자의 간 일부만 이식해도 수술 과정에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간이식 수술은 효과적이다. 하지만 영양 상태가 좋지 못하고, 예방접종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어른보다 감염에 취약하다.

국내 어린이 생체 간이식은 1994년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가 처음 시행했다. 서울아산병원 소아간이식팀은 이후 ABO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 및 2대1 생체 간이식 등 국내외 어린이 간이식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김경모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수술 전후 소아과와 소아외과의 긴밀한 협진, 환자 맞춤형 관리와 간이식 수술 기법 선택이 소아 생체 간이식 생존율 99%를 기록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소아 간이식팀의 고도화된 협진 시스템은 소아 간이식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성적을 내고 있는 미국 신시내티 어린이병원과 영국 킹스칼리지병원 등에서 적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국내 다른 센터에도 보급돼 어린이 생체 간이식 생존율 100% 시대로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승규 석좌교수는 “간이식 수술의 높은 생존율은 절체절명의 중증 환자를 살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다양한 수술법을 개발하고 신속한 대응과 수술 후 집중적인 관리까지 모든 팀원의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이식 분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간이식학회지 'Liver Transplantation' 최근호에 게재됐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