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강박증 환자 인지 기능 손상 정도 3분 만에 확인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생각이나 충동, 장면이 반복적으로 떠올라 불안을 느끼고,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 강박증이다. 손톱을 물어뜯거나, 손을 너무 자주 씻거나, 하루에도 몇 번씩 샤워를 하는 게 대표적이다. 강박증은 ‘내가 나를 피곤하게 하는 것’(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라고 할 수 있다.
강박증을 앓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이 이상하다는 것을 자각하고 그것을 그만두려고 노력하지만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 강박증 환자의 안구 운동 특성에 착안해 인지 기능 손상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법이 나왔다. 인지 기능 장애와 관련된 다른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어 종합적 인지 기능 평가 도구를 만들 수 있게 됐다.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김민아 의생명연구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안구 운동 검사를 이용한 강박증 환자 인지 기능 측정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강박증 환자 104명과 일반인 114명을 대상으로 복잡한 도형을 기억한 후 회상하는 레이복합도형 검사를 시행, 참가자들이 도형을 암기하는 3분간 눈동자 움직임을 측정했다.
그 결과 고위 인지 기능인 집행 기능이 손상된 강박증 환자의 경우 같은 도형 구조 상에서도 눈동자가 더 좁은 범위 안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행 기능 손상이 덜한 강박증 환자의 눈동자는 보다 넓게 움직였고 더 계획적으로 암기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집행 기능이 손상된 강박증 환자는 전체적인 그림을 보지 못하고 세부에 집착하기에 눈동자가 더 좁은 범위를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했다. 안구 운동 검사를 3분간 시행하는 것만으로도 강박증 환자의 집행 기능 측정이 가능하다.
김민아 교수는 “인지 기능 손상은 강박증의 원인이자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라며 “이번 연구는 강박증 환자의 인지 기능을 쉽고 빠르면서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권준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강박증뿐만 아니라 인지 기능 손상과 관련된 질환까지 확대 적용되면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바이오마커 기반 인지 기능 평가 도구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