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2050 탄소중립 달성, 속도 조절 필요”… 산업계, 높아지는 우려

입력
2021.09.29 04:30
2면
구독

국내 기업 탄소배출 절감 효율 이미 최고 수준
기술개발 필요하지만 2030년까지는 어려워
기업 눈높이에 맞춰야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한-콜롬비아 무역·투자 포럼'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이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한-콜롬비아 무역·투자 포럼'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국내 산업계가 정부의 ‘탄소중립 2050 달성' 방향성에는 공감하지만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국내 기업들의 탄소배출 절감 효율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더 높이긴 어려운 데다, 탄소저감 미래기술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2030년 탄소배출 국가감축목표(NDC)의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산업계는 28일 대한상공회의소를 통해 ‘2050 탄소중립 및 2030 NDC’에 대해 "이상적 목표가 아닌 현실적 가능성을 기반으로 수립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한 기업 관계자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수소환원제철,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미래기술이 필요하지만 2030년까지 개발은 어렵다"며 "2030 NDC는 현실적인 기술 수준과 감축 여력을 고려해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계에서는 탄소중립이 새 경제질서로 자리 잡은 만큼 한국도 반드시 가야 할 방향임은 분명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후 30년간 국내 기업은 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등 정부 정책에 맞춰 감축기술을 적극 도입한 결과 탄소배출 효율을 42% 이상 개선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한 기업 관계자는 “탄소중립을 위한 미래기술은 개별 기업이 개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정부의 과감한 자금 투입 등 국가적 역량이 투입돼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2030 NDC 달성과 기업의 이행부담 완화를 위해 국내 기업의 해외 감축실적을 적극 활용하자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또 다른 기업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은 글로벌 차원의 문제”라면서 “유럽연합(EU)과 일본의 사례와 같이 우리 기업의 해외 감축실적을 NDC 달성에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