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내 귀에 도청장치'를 외친 그 남자의 사연

입력
2021.09.28 04:30
21면
구독

김본 ‘라디오 스타가 사라진 다음에는’
(문학동네 2021 가을호)

편집자주

단편소설은 한국 문학의 최전선입니다. 하지만 책으로 묶여나오기 전까지 널리 읽히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일보는 '이 단편소설 아시나요?(이단아)' 코너를 통해 흥미로운 단편소설을 소개해드립니다.


1988년 8월 4일 MBC뉴스데스크에 한 남성이 출몰해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라고 외치고 있다.

1988년 8월 4일 MBC뉴스데스크에 한 남성이 출몰해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라고 외치고 있다.


1988년 8월 4일 밤 9시 MBC 뉴스데스크에서 강성구 당시 앵커가 서울시의 지하철 요금 인상 뉴스를 소개하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한 남성이 화면에 등장하더니 앵커의 마이크에 대고 이렇게 외친다. “귓속에 도청장치가 들어 있습니다.” 그는 끌려가는 순간까지도 외쳤다. “저는 가리봉1동에 사는 소창영이라고 합니다.”

이날 일은 희대의 방송사고로 회자되며 이후에도 여러 매체를 통해 패러디되었고, ‘내 귀에 도청장치’라는 이름의 밴드가 결성되기도 했다. 여기까지다. 우리가 이 남성과 이 사건에 대해 떠올릴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것은.

문학동네 108호에 실린 김본의 단편소설 ‘라디오 스타가 사라진 다음에는’은 우스운 해프닝으로 남은 이 ‘내 귀에 도청장치’ 사건과 관련해 우리가 미처 몰랐을 또 다른 버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의 이름은 어택선이다. 어택선의 ‘기행’이 시작된 것은 서울대에 다니던 첫째 형 어문선이 인근 초등학교에서 사체로 발견된 이후다. 어문선은 1982년 남산 산책로를 걷다 실종되었으며, 한 계절 뒤 집으로 돌아왔지만 한쪽 다리가 망가져 있었다. 그날 이후로 정신을 완전히 놓은 어문선은 발작을 일으킬 때마다 외쳤다. “저는 그냥 산책하려던 거예요. 그냥 지나가던 길이었어요. 말씀하시는 그런 거 아아, 안 했어요.”

형의 사망 이후 어택선은 라디오에서, 배구 경기가 열리는 장충체육관에서, 시위하는 학생들과 전경들이 팽팽하게 대치하는 서울대에 출몰한다. 그리고 이렇게 외친다. “내 귀에 도청장치가 있다!” “민간인을 사찰하고 이 사실을 은폐하는 경찰은 각성하라, 나는 감시당하고 있다."

김본 소설가. 문학동네 제공

김본 소설가. 문학동네 제공


이 이야기의 화자는 1996년에 태어난 그의 조카다. 삼촌이 정신병원에 가기 전까지 그와 함께 살았던 ‘나’는 세상이 기억하고 있는 것 이상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들려준다. 아들로서, 형제로서, 삼촌으로서 어택선의 이야기를.

“이 세상에 삼촌을 기억하는 사람은 많았다. 개그 프로에서 삼촌을 흉내내는 방송인도 있었고, 유튜브에 올라온 삼촌의 영상-검은 화면에 삼촌의 말에만 찌그러진 서체로 자막을 입힌-에 웃기다며 댓글을 단 사람들도 수천 명이었다. 그렇지만 그 사람들 중 진짜 삼촌을 알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 모두 삼촌의 이름과 목소리, 사는 곳은 알았지만 그래도 삼촌이 1987년부터 2005년까지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알지 못했다.”

물론, 이 이야기는 소설-픽션-이다. 그의 실제 이름은 어택선이 아니라 소창영이고, 축구공을 귀에 맞아 고막이 파열된 후 지속적인 이명 증상에 시달렸던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은 뒤 이런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1980년대 남산에는 안기부 청사가 있었다. 1980년대 수많은 대학생들과 민주화 인사들이 남산의 안기부와 남영동의 대공분실로 끌려갔고 고문과 감시, 도청을 당했다. 야만의 시대가 수많은 이들의 삶을 할퀴고 지나갔다. 그중 일부는 기록되었을 것이고, 일부는 기록되지 못했을 것이다.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는 이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역사가 우릴 망쳐놨지만 그래도 우린 상관없다.” 이 문장은 근래 쓰인 소설 도입부 중 가장 강렬한 것이기도 하지만, 소설이라는 형식에 대한 가장 적확한 설명이기도 하다. 역사가 멋대로 기록한, 혹은 기록에도 남기지 않은 이들에게 이야기의 자리를 내어주겠다는 다짐. ‘라디오 스타가 사라진 다음에는’은 바로 그 사관으로서 기록되지 못한 역사의 파편을 재구성한 기록이다.

한소범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