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뿌리 찾고 싶어" 한국계 유명 모델, 친부모 찾아 나섰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친부모님도 지금의 나를 자랑스러워 했으면 해요
케빈 크라이더(Kevin Kreider)는 미국의 젊은 인플루언서다. 잘생긴 아시아계 미국인이다. 키가 180센티미터를 넘고, 기회만 있으면 근육질의 몸을 자랑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힘들어 하는 자신과 같은 미국인들에게 건강을 유지하고 긍정성을 잊지 말라고 설파한다.
올 초 미국에서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린 넷플릭스 리얼리티 쇼 '블링블링 엠파이어(Bling Empire)'는 '돈이 넘쳐서 주체를 못하는' 캘리포니아의 아시아계 부유층을 출연시켰는데 여기서 케빈의 역할은 이들을 관찰하는 '평범남'이다.
그런데 이 쇼는, 얼핏 보면 고민 하나 없을 것 같은 이 남자의 다른 면을 비춘다. 그는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태진(Kim, Taejin)이기도 하다. 그가 네 살 때, 그를 돌보던 할아버지가 그를 한국에서 미국 필라델피아의 가정으로 입양시켰다. 당연히 그에게 한국에 대한 기억은 거의 없다. 그는 쇼에서 유전자 검사를 하고, 생물학적 부모에 관한 단서를 찾으며 번민하는 모습을 보인다.
케빈은 15일 줌(Zoom)을 통해 한국일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자신이 부모를 찾는 이유를 "내가 어디서 왔는지 알고 싶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가족력이 있는지만 알아도 도움이 될 것이고 형제가 있는지도 알고 싶다"며 "무엇보다도 내 얼굴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내가 밤중에 갑자기 깨어나 아침까지 잠들기 힘든 이유도 술을 즐기는 이유도 알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그는 '아시아인이되 충분히 아시아인이지 못하고, 미국인이되 충분히 미국인이지 못한' 처지를 고민해 왔다고 했다. 그는 이것이 "내가 늘 고민하는 것이자 내 불안감의 원인"이라며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나는 고래들 사이에서 사는 연어 같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만화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 '울버린'에 자신의 처지를 빗대기도 했다. 만화 속 울버린도 '과거 기억 되찾기'가 삶의 주요한 목표로 나온다. "울버린은 실험의 대상이 돼서 기억을 잃고 자기 본명이 뭔지도 모르다보니 불안을 느끼고 항상 화가 나 있다"며 자신도 이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블링블링 엠파이어'의 에피소드 4 '가슴 아픈 사랑'에서는 그가 자신의 과거를 찾으려는 여러 노력들이 그려졌다. 그는 "나는 한국인(I'm Korean)"이라고 당당하게 말한다. 이어 "늘 남들과 다르게 겉도는 기분을 느끼며 컸다"며 "아이들한테 괴롭힘을 당했고 아시아인으로 살기 싫었다"고 털어놓는다. 대신 "늘 백인이 되고 싶어 했죠"라고 했다.
그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자신의 혈통과 문화적 뿌리를 찾으려 한다. "살면서 친부모님을 찾고 싶은 생각이 든 적은 없었다"는 케빈은 "그런데 요즘 들어 신경이 쓰인다"고 말한다. 그는 그 이유를 "내 인생의 잃어버린 조각이 아닐까 싶어서"라고 고백한다.
케빈은 자신의 유전자 검사 결과를 입양 센터에 메일로 보냈고, 친부모에 대한 정보가 있는지 물었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케빈은 친부모를 찾을 단서를 얻었다. 그가 밝힌 기록에 따르면, 그는 수원에 위치한 아동 보호시설 '경동원'에 있다가 1986년 입양됐다. 조부는 수원 구천동에 거주하던 '김화경'씨로 기록돼 있다.
김태진은 입양 이전에 시설에서 사용된 이름이다. 그는 "재밌는 건 할아버지는 내게 음력 생일을 남겨서, 나는 한동안 정확한 날짜도 몰랐고, 별자리(점성술에 따라 생일별로 배정되는)도 전혀 다르게 알고 살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면요법으로 과거의 기억을 되짚는 시도도 한다. 애초에 그는 이런 요법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결국 그는 '태어날 때 어머니로부터 무엇을 받았다고 느꼈느냐'는 질문에 원치 않는 임신을 한 모친의 불안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렸다. 정말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는 "몸으로 기억하는 것을 되짚은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워낙 어렸을 적이라, 그가 떠올릴 수 있는 구체적인 기억은 없다. 한국에 살던 시절 있었던 몇몇 장면에 대한 '느낌'뿐이다. "아버지였던 것 같은 사람인데, 화장실에 갈 때 내게 '덩(똥)'이라고 말한 것은 기억이 난다"며 "한국어에 실제로 있는 단어냐"고 묻기도 했다.
케빈은 어쩌면 만날 수 있을 부모에게 자신이 입양된 것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 말했다. "오히려 감사하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고도 했다. "그분(부모)들이 만났고, 그래서 내가 이 세상에 나왔고, 그 결과로 좋은 일이 일어났다"는 케빈은 "그분들이 지금의 나에 대해서 자랑스러워 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은 미국에 비해 미혼부모의 자녀, 이혼자녀, 혼외자녀 등을 '부끄럽고 나쁜 것'으로 여긴다고 들었다"며 "그분들이 자신의 입양에 대해서 부끄럽거나 미안한 마음을 갖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입양은 오히려 나에게 '두 번째 삶'의 기회가 됐다"며 "내 삶에 결국 좋은 일이 일어났고, 그건 부끄러워 할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만나고 나서 듣고 싶은 이야기도, 묻고 싶은 질문도 많다. "지금 미국의 (양)부모님이 내게 내 유년시절 이야기를 해주시는 것처럼 그들이 기억하는 내가 어땠는지를 이야기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우리는 대화를 나누면서 몇 가지 질문에 답을 찾을 수 있다"며 "그분들이 원한다면 더 가까워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