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땐 재택치료 늘텐데… 의료폐기물은 어쩌나

입력
2021.09.14 04:30
0면
구독

방치 땐 '확진자의 집' 낙인 찍힐 위험
의료폐기물 수거 위한 전담인력 늘려야

2월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병원 관계자가 의료폐기물을 정리하고 있다. 뉴스1

2월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병원 관계자가 의료폐기물을 정리하고 있다. 뉴스1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재택(자가)치료 확대를 준비하면서 의료폐기물 수거가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은 보건소나 지방자치단체가 일일이 수거하고 있는데, 경증이나 무증상 환자가 집에 머무는 경우가 늘수록 수거량이 폭증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폐기물 처리 대책이 없으면 재택치료 확대도 어려워진다. 방역당국은 전담인력을 확보하거나 폐기물 양을 줄이는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의료폐기물은 '수거 당일 소각' 원칙

13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전날 코로나19 확진자 중 재택치료를 시작한 이는 39명이다. 재택치료는 확진자 중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 혹은 시설에 가기 어려운 경우 집에 머물며 관리받는 방식을 말한다. 지난해 말부터 지금까지 소아와 소아 보호자, 성인 1인 가구 약 3,000명이 재택치료를 받았다.

방역당국은 재택치료를 “일상 회복으로 가는 길목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라 보고 있다.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고, 확진돼도 중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낮다면 집에서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미 경기도와 강원도는 전담팀을 꾸렸고, 최근엔 매일 30~70명이 재택치료를 시작하고 있다.

재택치료는 확진자가 집에 머물기 때문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쓰레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음식물을 포함, 재택치료 중 나온 모든 쓰레기는 의료폐기물로 분류된다. 전용 봉투나 용기에 넣어 소독해두면 보건소나 지자체 담당자가 수거한 뒤 의료폐기물 처리 전문업체가 가져다 당일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의료폐기물 소각 업체는 전국에 약 200여 개, 전용 소각장은 13개가 있다.

보건소·지자체 인력만으론 수거에 역부족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로 발생한 의료폐기물은 약 5,788톤이다. 올해 상반기엔 약 7,616톤으로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어섰다. 재택치료가 확대되면 양은 더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폐기물 업계에선 처리 자체엔 문제가 없다고 본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에 따르면 현재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소각장 용량의 80~90% 정도에 머물고 있는 데다, 허가 용량의 130%까지도 처리 가능하다. 상당히 여유가 있는 셈이다.

지난해와 올해 분기별 국내 전체 의료폐기물 발생량과 코로나19 격리 의료폐기물 발생량.

지난해와 올해 분기별 국내 전체 의료폐기물 발생량과 코로나19 격리 의료폐기물 발생량.

문제는 수거다. 재택치료 가정이 늘어날수록 가뜩이나 업무가 과중한 보건소와 지자체 직원들이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수거하기엔 역부족일 가능성이 높다. 의료폐기물 처리 업체도 수거 작업엔 난색이다. 의료폐기물공제조합 관계자는 “의료폐기물은 '수거 당일 소각'이 원칙이라 지금도 소각장을 밤 늦게까지 운영한다”며 “그런 상황에서 우리가 가가호호 방문 수거까지 하는 건 어렵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문 밖에 내다놓을 수도 없다.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에, 동네에서 '확진자의 집'으로 낙인 찍힐 우려마저 있다.

결국 집집마다 다니며 의료폐기물을 수거하는 전담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일각에선 소독업체나 소방인력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기된다. 재택치료자를 늘리고 있는 경기도의 임승관 홈케어시스템운영단장은 “비용을 들여 수거 서비스 업체를 활용하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파 위험 낮으면 일반쓰레기로 배출?

재택치료 폐기물 중 위험도가 낮은 것들은 일반쓰레기로 분류해 의료폐기물을 줄이는 방법도 있다. 가령 음식물에는 바이러스가 남아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 전문가들도 동의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같은 생활용품에 대해선 엇갈린다. 확진됐다 한들 증상 발현 후 5일 정도 지나면 전파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그 후 사용한 물품은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자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그래도 표면에 바이러스가 일부 남아 전파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기온이 낮고 건조해지면 단단한 표면에서 바이러스가 좀 더 오래 살아남는다”고 말했다.

중수본은 재택치료 폐기물의 종류나 발생 시기 등에 따른 감염 위험도를 파악하고 있다. 곽진 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지침팀장은 “재택치료 폐기물 배출 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등 수거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환경부와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임소형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