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중국산 백신'은 싫다는 北, 백신으로 대화 동력 마련하려는 정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거부하고 있다. 코로나19 탓에 국경까지 틀어 막은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공짜로 준 백신을 외려 “다른 나라에 나눠 주라”며 통 큰 양보(?)를 한 것이다. 정확한 속내야 모르지만 정부는 북한의 백신 거부를 기회로 삼는 분위기다. 백신 제공을 지렛대 삼아 꺼져가는 남북대화의 불씨를 어떻게든 살리고 싶어 한다.
1일 미국의소리(VOA)방송에 따르면 유니세프 대변인은 “북한 보건성이 자국에 배정된 코로나19 백신 297만 회분을 감염 상황이 더 심각한 나라에 재배정해도 된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밝혔다. 북한이 양보 의사를 내비친 백신은 중국산 시노백으로 추정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달 국제백신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가 북한에 시노백 백신 297만 회분을 배정했다고 공개했다. 또 북한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99만 회분을 배정받고도 코백스 구호요원의 현장 모니터링을 거부하는 식으로 도입을 미루고 있다.
백신을 사양하는 북한의 호의를 순수하다고 보긴 어렵다. 북한은 AZㆍ시노백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을 깊이 불신하고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7월 “북한이 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수급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이라며 “중국산 백신도 믿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백신 양도를 확진자가 단 한 명도 없다는 주장에 따른 자신감이나 사정이 더 딱한 제3세계 국가들을 위한 이타심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까닭이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북한이 백신 원조를 무작정 거부하는 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미 코로나19 확산과 장기 국경 봉쇄로 북한 경제가 파탄 지경에 이른 점을 감안하면 백신이 남북관계 개선과 대화 물꼬를 틀 유효한 카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차단을 이유로 단행한 국경 봉쇄를 무기한 연장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북한이 손을 내밀 때를 염두에 두고 백신 제공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북한의 영변 핵시설 재가동 정황이 공개되면서 대화의 명분이 쪼그라든 만큼 정부가 비교적 거부감이 덜한 백신 등 ‘인도적 지원’에 더욱 매달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은 지난달 31일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화상회의에서 “북한의 참여를 함께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자”고 참가국들을 설득했다.
그러나 남북 간 백신 협력이 성사되기에는 여전히 난관이 많다. 북한과 미국은 각각 ‘적대시 정책 철회’와 ‘조건없는 대화’ 기조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으며 대화 재개의 시동조차 걸지 못하고 있다. 대북제재 해제 없이 인도적 지원을 약속하는 것만으로는 한반도 정세의 일대 전환을 꾀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정대진 한평정책연구소 평화센터장은 “대북제재 완화, 북미관계 개선, 대외 개방 환경 조성 등 백신 도입과 보조를 맞춘 이득이 있을 때 북한은 대화 무대로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