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특별기여자, 서방 아닌 한국 택한 건 한국에 대한 믿음 때문"

입력
2021.08.30 11:00
수정
2021.08.30 11:31

손문준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교수
"한국엔 이주·난민 정책 정립 안된 탓
초기엔 서방국가행 고려한 이들 많아"
특별기여자들 행로 함께 논의할 예정
"제도 마련되면 정착할 분들 많지 않을까"

아프가니스탄에서 우리 정부 활동을 지원해온 아프간 현지인 직원과 배우자, 미성년 자녀, 부모 등 후발대로 출발한 13명이 특별기여자 신분으로 27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이날 입국한 아프간인들은 수년간 아프간 현지 우리 대사관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바그람 한국병원, 바그람 한국직업훈련원, 차리카 한국 지방재건팀(PRT)에서 근무해 난민이 아닌 특별기여자 신분을 받았다. 인천공항=뉴스1

아프가니스탄에서 우리 정부 활동을 지원해온 아프간 현지인 직원과 배우자, 미성년 자녀, 부모 등 후발대로 출발한 13명이 특별기여자 신분으로 27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이날 입국한 아프간인들은 수년간 아프간 현지 우리 대사관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바그람 한국병원, 바그람 한국직업훈련원, 차리카 한국 지방재건팀(PRT)에서 근무해 난민이 아닌 특별기여자 신분을 받았다. 인천공항=뉴스1

1년 3개월 동안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기지 내 한국병원에서 일했던 손문준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특별기여자들로부터 공유받은 긴박했던 탈출 상황을 대신 전했다.

그는 특별기여자들이 난민·이민 정책이 잘 정립돼 있는 국가가 아닌 한국행을 결정한 것은 "한국에 대한 믿음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손 교수는 30일 TBS 라디오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특별기여자들이 한국으로 오기까지의 과정을 전했다. 그는 바그람 한국병원 설립 초창기인 2010년 9월부터 2011년 12월 말까지 근무하며 입원·수술시설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길을 잡는 역할을 했다.

그는 "특별기여자의 3분의 2가 같이 근무했던 병원 직원"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의사, 약사, 의료기사, 간호사뿐만 아니라 병원 전산시스템을 관리하는 정보기술(IT) 전문가, 행정직, 통역 등 여러 직종의 종사자가 포함돼 있다.


"특별기여자들, 처음엔 미국 등 서방국가행 고려"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와 그 가족들이 29일 오전 충북 진천군 공무원인재개발원에 마련된 임시 숙소에서 자가격리 생활 중 창문 밖을 내다보고 있다. 진천=뉴스1

아프가니스탄인 조력자와 그 가족들이 29일 오전 충북 진천군 공무원인재개발원에 마련된 임시 숙소에서 자가격리 생활 중 창문 밖을 내다보고 있다. 진천=뉴스1

손 교수는 7월 초부터 아프간을 떠나려는 특별기여자들과 연락했다. 당시 특별기여자들은 미국 등 서방국가와 한국 중 어디로 갈 것인지 기로에 놓여 있었다고 한다.

그는 "우리나라는 이주·난민정책 정립이 되지 않아 특별기여자들이 서방국가로 가는 걸 많이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나라들을 위해 일했던 분들도 못 나가고 있어서 우선순위(에서 밀릴까 봐) 걱정을 많이 했다"고 전했다.

문제를 한국대사관과 논의해 보라고 권유한 것은 손 교수였다. 그는 "특별기여자들은 (어디로 가든) 한국 정부로부터 근무 이력을 확인받아야 했다. 그때 그곳 참사관과 자세히 상의를 해보면 어떨까 얘기했었다"고 했다. 그 결과 병원의 대부분 직원이 한국행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손 교수는 특별기여자들이 생사를 목전에 두고도 한국에 대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관련 제도가 없는데도 이렇게까지 빠르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올 수 있었던 건 그분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믿음을 갖고 계속 기다렸기 때문"이라고 했다.


"탈레반 카불 점령 이후, 상황들 조각조각 공유받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특수부대원들이 29일 수도 카불 거리에서 순찰활동에 나서고 있다. 카불=AFP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특수부대원들이 29일 수도 카불 거리에서 순찰활동에 나서고 있다. 카불=AFP 연합뉴스

15일 탈레반의 카불 점령 이후 손 교수는 특별기여자 일부로부터 긴박했던 상황을 전달받았다. '어디가 막혔다'는 소식을 조각조각 들어서 작전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큰 그림은 가늠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게다가 대외비여서 외부에 얘기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손 교수는 "대사관 등 공식 채널도 없어져서 '벙어리 냉가슴'처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당시 심경을 털어놨다. 손 교수도 작전 막바지 외교부 브리핑을 통해 그들이 어떤 난관을 거쳤는지 알게 됐다.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한 아프간 가족이 26일 오후 임시 숙소로 지정된 경기도의 한 호텔에서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김포=뉴스1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한 아프간 가족이 26일 오후 임시 숙소로 지정된 경기도의 한 호텔에서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김포=뉴스1

손 교수와 외교부의 주선으로 당시 아프간에서 근무했던 한국 직원들은 조만간 비대면으로 특별기여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특별기여자들의 행로, 즉 한국에 정착할 지, 제3국으로 옮겨갈지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손 교수는 "우선 그 친구들의 의견을 들을 것 같다"면서도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관련 제도가 마련된다면 정착하실 분들이 훨씬 많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의 예를 들며 "그 나라에서 우리 제약회사 약품이 인기가 높아서 (익숙하다.) 일반 약국에서 일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건지소도 있고 국제 진료도 있어서 꼭 우리나라 국민을 치료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면 보건의료 업계에서 (일 할) 자리는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된다"고 덧붙였다.

윤주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