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모든 통화 '자동 녹음' 하는 이준석, 여의도선 흔한 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이준석 대표의 '전화통화 녹취록'으로 국민의힘이 연일 시끄럽다. 논란이 된 '이준석 통화 녹취록'은 18일 현재 두 건이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의 통화 녹취록이 지난주 대표실 주변에서 유출됐고, 원희룡 전 제주지사와의 통화 내용은 이 대표가 17일 녹취 문건 형태로 직접 공개했다.
이 대표는 스마트폰의 ‘자동 통화 녹음’ 기능을 사용해 모든 통화를 녹음한다고 한다. 그가 마음만 먹으면 모든 통화 내용을 공개할 수 있다는 '살벌한' 사실이 원 전 지사 사례를 통해 드러났다.
통화 녹음은 정치권에선 흔한 일일까. 여야 의원들에게 물어봤다.
서울 지역 초선인 A 의원은 “국회의원 대부분이 ‘갤럭시폰’을 쓴다. 아이폰은 통화 녹음이 안 되기 때문”이라고 귀띔했다. 통화 녹음이 상당히 보편화돼 있다는 얘기다. 그는 “나는 자동 녹음 기능은 쓰지 않지만,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녹음한다”고 덧붙였다.
통화 녹음은 '유사시'에 대비한 방어 수단이다. 통화 내용을 둘러싼 진실 공방에 휘말렸을 때 ‘증거’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A 의원은 “억울한 오해를 사게 되면 어떻게든 진실을 알려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아이폰 사용자’라고 모두가 통화 녹음을 포기하는 것도 아니다. 경기 지역 초선인 B 의원의 전언. “운전 중이거나 정말 급할 땐 아이폰 두 대를 사용해 녹음할 때도 있다. 통화 중인 휴대폰을 스피커폰으로 설정하고, 다른 휴대폰으로 녹음을 하는 식이다."
B 의원은 “녹음은 일종의 ‘기억 보조 장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동의를 구하지 않은 녹취는 웬만하면 하지 않으려 하고, 불가피하게 하더라도 기억을 되살리는 용도로만 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는 “잘 드는 칼일수록 필요할 때만 써야 한다”며 녹음 파일을 외부에 공개하거나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일은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녹음 행위 자체에 강한 거부감을 표시한 의원들도 있었다. 호남권 초선인 C 의원은 “정보기관 도ㆍ감청 사건에 대한 기억 때문에 사적 통화를 녹음한다고 하면 일단 거부감이 든다. 상대방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통화 녹음=불신'이라는 인식이 여의도엔 다수다. 충청 지역의 D 초선 의원은 “서로 신뢰를 갖고 대화해야지 왜 녹취를 하느냐”며 “가뜩이나 불신의 시대인데, 녹취가 보편화되면 더 의심하며 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도 18일 기자들과 만나 “녹취를 한다는 건 서로 신뢰하지 못한다는 뜻이라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