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부대원 90% 확진' 청해부대 "서아프리카 기니만 해역 정박 때 감염 추정"

입력
2021.08.10 18:10
3면

민관군합동조사단 박영준(가운데) 질병관리청 역학조사분석담당관과 이순영(왼쪽) 국군의무사령부 예방의학처 대령, 박선균 해군본부 의무실 보건운영과장이 10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청해부대 코로나19 집단발생 역학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청주=뉴스1

민관군합동조사단 박영준(가운데) 질병관리청 역학조사분석담당관과 이순영(왼쪽) 국군의무사령부 예방의학처 대령, 박선균 해군본부 의무실 보건운영과장이 10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 브리핑실에서 청해부대 코로나19 집단발생 역학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청주=뉴스1

해외파병 중 부대원 90%가 감염됐던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태는 군수물자를 싣기 위해 정박한 서아프리카 기니만 해역 인접 국가에서 감염됐던 것으로 추정됐다. 구체적 바이러스 유입 경로까지 밝혀내진 못했다.

10일 질병관리청, 군 역학조사단, 의료계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군 합동조사단은 이런 내용의 역학조사 결과를 내놨다.

합동조사단은 "청해부대는 해외 파병 전 2주간 감역과정을 완료했기에 바이러스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시점은 항구 정박 시점밖에는 없다"며 "6월 28일부터 7월 1일 사이에 정박한 D지역에서 감염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D지역은 기니만 해역으로 나이지리아, 토고, 카메룬 등의 국가들이 있다.

D지역을 유력하게 꼽은 이유로 △해당 지역 정박 이후 유증상자 급증 △정박 당시 외부와 접촉한 부대원 중 일부의 평균 잠복기(5~7일) 내 증상 발생 △전장유전체 분석 결과 D지역 바이러스와 동일 계통의 바이러스라는 점을 들었다. 실제로 확진자 274명 중 64명을 대상으로 변이 감염 여부를 분석했더니 델타형 변이가 확인됐다.

다만 청해부대원이 물품이나 유류 등을 보급받거나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개인보호구를 착용했고, 소독 조치 역시 지침을 준수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업무 외 개별적인 접촉 또한 없었다. 처음 증상이 나타났던 조리병의 감염경로도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부대원 301명 중 272명(90.4%)이 확진되는 등 코로나19가 빠르게 번져 나간 것에 대해 합동조사단은 △밀폐·밀집·밀접이라는 3밀 환경 △24시간 내내 공동생활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델타 변이 △장기간 항해로 인한 피로 때문에 늦어진 증상 인지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합동조사단은 청해부대 집단감염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파병 시 검사체계, 진단검사 장비 등을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합동조사단은 "청해부대의 검사 장비가 항체 키트가 아닌 항원 키트였다면 코로나19 감염 인지가 더 빠르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항원 키트가 항체 키트보다 더 빠르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내놓는다. 청해부대는 실무진 착오로 신속 항원 검사키트를 챙기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에 파병됐던 청해부대는 부대원 90%가 감염되자 지난달 20일 군 수송기를 타고 조기 귀국한 뒤 군 병원 등에 분산 이송돼 치료받았다. 위중증 환자는 없었고 지금은 모두 완치돼 퇴원했다.

이정은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