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강화' 미국의 유턴... 연방정부 직원 백신 의무접종·마스크 재착용

입력
2021.07.28 20:00
14면
구독

20일 만에 확진자 4.5배?↑... 83%가 델타 변이
"다시 팬데믹 기로" 판단에 방역 고삐 죄고 나서
CDC "백신 접종자도 실내서 마스크 착용" 권고?
'접종 의무화'엔 연방정부 내부서도 의견 엇갈려
사우디도 '백신 의무화'... 호주는 봉쇄 4주 연장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방침을 발표한 27일, 여성 두 명이 마스크를 쓴 채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게시된 마스크 착용 권고문 앞을 지나가고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방침을 발표한 27일, 여성 두 명이 마스크를 쓴 채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게시된 마스크 착용 권고문 앞을 지나가고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7ㆍ4 코로나 독립선언’을 했던 미국이 결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고삐를 다시 죄고 나섰다. 델타 변이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탓이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개월 만에 ‘실내 마스크 착용’ 방침을 재도입했고, 연방정부는 모든 직원들의 백신 접종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 초만 해도 조 바이든 대통령은 델타 변이가 퍼지더라도 방역 완화를 유지한다는 기조였으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국면이 또 시작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자 입장을 선회하고 말았다.

27일(현지시간)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앞으로 미국 연방정부의 모든 직원은 반드시 백신을 맞거나, 반복적인 코로나 19검사를 받아야 할 전망이다. 전날 캘리포니아주(州)와 뉴욕시가 이 같은 조치를 발표한 데 이어, 연방정부도 ‘방역 강화’를 선언한 셈이다. 이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국가정보국(DNI) 연설 후 기자들에게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구체적 절차나 내용은 29일 그가 직접 발표할 예정이다. 신문은 “연방정부가 백신 미접종자를 해고하진 않겠지만, 상당한 제한이 따를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일 독립기념일 연설에서 “코로나19에 우위를 점했다”며 승리를 선언했다. 하지만 이후 미국에선 델타 변이 확진자가 급증했다. 이달 6일 2만3,688명이었던 신규 확진자는 이날 10만8,775명으로 치솟았다. 3주 사이 4.5배 늘어난 것이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25일 “신규 감염자의 83%가 델타 변이에 감염됐다”며 “미국이 다시 팬데믹 기로에 섰다”고 진단했다.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것도 한계에 봉착한 모습이다. 미국 성인의 39%가 아직 백신을 맞지 않았는데(NYT 자료 기준), 이들 중 절반이 “절대 백신을 맞지 않을 것“이라는 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 강화 조치를 다시 취할 수밖에 없게 된 이유 중 하나다.

‘실내 마스크 착용’ 지침도 부활했다. ‘연방정부 직원 백신 접종 의무화 추진’ 소식에 앞서 이날 CDC는 △델타 변이 확산 지역에 거주하거나 △가족 중 고위험군이 있는 경우 등에 대해 “백신을 맞은 사람도 실내 공공장소에선 마스크를 쓰라”고 권고했다. 백악관 역시 CDC 발표 이후 모든 직원한테 이메일을 보내 “접종 여부와 관계 없이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연방정부 내부에선 ‘백신 접종 의무화’를 둘러싸고 의견이 엇갈린다. 미 항공우주국과 국방부 직원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국제과학기술노동자연맹(IFPTE)의 폴 시어론 회장은 WP에 “백악관 방침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코로나19로 이미 국민 60만 명이 숨졌고, 우리는 더 이상의 죽음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래리 코스메 연방법집행관협회(FLEOA) 대표는 “누구도 의료 절차를 강제로 밟도록 의무화해선 안 된다. 내부 반대도 상당하다”면서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방역 강화에 나서는 건 미국만이 아니다. 인구 절반 이상이 한 차례 이상 백신을 맞은 사우디아라비아는 다음 달부터 학교나 상점, 식당, 대중교통을 이용할 땐 백신 접종을 반드시 증명하도록 했다. 호주도 최대 인구 지역인 뉴사우스웨일스주는 당초 30일 해제 예정이었던 봉쇄 조치를 4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박지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