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이 던진 '민주당 역선택' 폭탄...타깃은 국민의힘 경선 룰?

입력
2021.07.13 13:00
수정
2021.07.13 14:07
구독

김재원 "민주당, 역선택 감수한 것 아니냐"
"일반 여론조사, 민주당 방식보다 역선택 문제 심해"
조해진 "우리도 민주당 지지자들 배제 고민해 봐야"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이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이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더불어민주당의 '완전 국민경선' 선거인단으로 참여하면서 "정권 교체에 힘을 보태달라"고 참여를 독려하자 '역선택'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런데 이로 인해 민주당은 물론 '당심 50 대 민심(일반여론) 50'으로 여론조사 결과가 포함되는 국민의힘 경선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나온다.

김 최고위원은 13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 자신을 대상으로 법적 조치를 고려하겠다는 민주당 쪽 반응에 "상대당의 최고위원이 들어오면 공방을 벌이고 넘어가면 될 일을 법적 조치 운운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재명 경기지사를 향해서는 "업무방해죄에 해당된다고 하는데, 신청해 달라고 해서 들어가서 신청했을 뿐"이라며 "이재명 지사가 변호사로서 법을 모르는 돌팔이 변호사구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에서 (국민경선 룰은) 역선택이 가능하고, 역선택이 있겠지만 그 정도는 감수하고 이것을 진행하겠다, 역선택의 효과가 미미할 거다 아예 그렇게 공개하고 시작했다"며 "이것을 가지고 업무방해라고 하면 그분들은 국민참여 선거인단 모집하면 안 됐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8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최 전 원장 부친의 빈소에서 만나 인사하고 있다. 두 인물은 야권의 유력한 대선후보로 국민의힘 경선 참여 가능성이 있다. 독자 제공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8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최 전 원장 부친의 빈소에서 만나 인사하고 있다. 두 인물은 야권의 유력한 대선후보로 국민의힘 경선 참여 가능성이 있다. 독자 제공

그런데 같은 역선택 논란은 국민의힘 경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현재로서 국민의힘 경선은 규칙이 당심 50 대 민심 50으로, '민심'은 여론조사를 진행해 반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경선 후보자들이 합의하면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에서는 경선 룰 세팅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결선 투표 얘기도 그 중 하나. 야권 지지율 1위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4강에 포함되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면, 나머지 3명의 주자들은 결선투표 등에서 뒤집기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민심의 요구를 더욱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본 경선의 일반여론 비율(50%)을 늘리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심지어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아예 '100% 국민여론조사 경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최고의원은 "관심이 있는 사람이 참여하는 국민참여 선거인단은 역선택 가능성이 덜한데, 여론조사는 무차별적으로 전화해서 받으면 반쯤은 민주당 성향이라, 외려 역선택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며 "역선택 방지 문항을 넣어서 정당 지지를 묻고 배제하자는 주장도 있다"고 말했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국민의힘에서도) 서울시장 선거 때도 (역선택) 논란이 됐었고, 선거 때마다 논란이 있었는데, 그간에는 일부에서 그런 의도가 있거나 시도를 한다 하더라도 당론을 좌지우지할 정도의 영향은 아니기 때문에 무시하고 그냥 하자고 해 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어 "이렇게(민주당 역선택 논란) 되면 저희 당도 선거인단 모집이나 여론조사 대상 선정 때 적어도 민주당 지지자라고 밝히는 사람들은 배제해야 한다는 논의가 심각하게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선 김 최고위원이 민주당 국민경선에 참여함으로써 국민의힘 경선 규칙에도 '역선택' 우려를 반영해 일반 여론조사의 비중을 높여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를 만들려는 의도가 있다는 해석도 있다.

김 최고의원은 "우리당 최고위에서 협의한 것은 지금 경선규칙을 바꾸기 위해선 후보자들이 등록하고 나면 후보자의 대리인들이 모여서 모두 합의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라면서 "벌써 그때 후보자 대리인들끼리의 협의를 생각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인현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