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바야흐로 ESG의 시대다. 기업, 증시, 정부, 미디어 등 모든 곳에서 ESG를 얘기한다. 대세로 자리 잡은 'ESG의 경영학'을 하나씩 배워본다.
ESG 경영을 이야기할 때 “미래세대를 위해 환경보호를 가장 큰 덕목으로 생각해야 한다”거나 “도덕적으로 올바른 경영을 해야 한다”는 등의 관점으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기업의 잘못된 경영으로 인한 부작용을 비판하던 사람들도 ESG의 개념을 접하면서 ESG가 보편화되면 이제 기업은 착한 존재로 우리 옆에 있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기대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개념이고 많은 개인과 조직이 지지한다고 해서 ESG를 막연한 도덕적 개념만으로 이해하다 보면 기업경영의 현실과 맞지 않는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마련이고 결과적으로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도 있다.
ESG를 도덕적인 문제만으로 이해하거나 착한 기업의 사회 기여 관점으로만 이해하다 보면 현실과의 괴리 속에서 “착한 척”하는 현상, 즉 ESG 워싱(Washing·세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따뜻한 경영으로 보이는 ESG 경영은 역설적이게도 가혹하리만큼 냉정하게 돈의 흐름을 좇는 자본시장에서 비롯되었다. ESG는 착하고 선한 것을 추구하는 관점이라기보다,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잘 구분해서 실천해야 한다는 관점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기업인들은 ‘정말 ESG란 것이 경영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칠까?’ 하는 의구심 속에서 ESG를 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제는 우리 회사도 ESG를 경영에 접목시켜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막상 실행과제들을 생각해 보고 환경 관련 국내외 규제 변화의 크기와 속도를 살펴보다 보면 의욕은 금세 불안감과 불만으로 바뀌게 된다.
특히 탄소중립에 대한 흐름이 빠르게 다가오는 것을 체감하면서 대응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한 후에 따르는 막대한 비용을 생각하면 막막하기 마련이고 비용을 감수한다 하더라도 기존의 에너지원인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대체할 마땅한 방법도 없음을 알게 된다.
이렇게 어려운 와중에 기업들은 경쟁사와 다른 기업들이 친환경을 주제로 뭔가를 발표하게 되면 조바심이 더 나게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사실을 부풀리거나 왜곡된 사실을 기반으로 ‘우리 회사도 친환경 경영을 하고 있다’거나 근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제품은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류의 보도자료를 준비하는 유혹에 빠지기도 한다. 과거 기업들이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함에 있어서 본질보다 기업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해 왔던 습관과 경험이 ESG 경영에도 적용되는 상황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 CSR에서의 워싱(Washing)과 ESG 워싱은 그 결과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두 가지 모두 기업의 명성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ESG 관점에서는 이를 믿고 투자한 투자자의 손실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자본시장에서의 신뢰 상실 및 소송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실제로 해외에서 잘못된 ESG 공시를 문제시하여 소송이 일어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마케팅 차원으로 ESG를 대한다면 기업경영에서 매우 큰 리스크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에서 CSR 활동을 광범위하게 전개할 때와는 다르게 최근 많은 법무법인에서 ESG팀을 대규모로 구성하고 있다. 법무법인이 ESG 관련 소송사건이 급증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은 기업이 송사에 시달릴 가능성이 그만큼 커졌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ESG 관련 약속과 발표는 디지털 세계에 영원히 기록된다는 점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