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이낙연, 1위 이재명에 '대역전' 시작?... 검증해 봤더니

입력
2021.07.13 06:00
5면
구독

KSOI 조사서 격차?16.9%→8.8%p로 좁혀져
다른 조사에선 경선 전후 지지율 '변화 없음'
다양한 조사 변수 탓... 상승 지속 여부 미지수

이재명(왼쪽)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중구 TV조선 스튜디오에서 열린 TV조선, 채널A 공동 주관 토론회에 참석해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왼쪽)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중구 TV조선 스튜디오에서 열린 TV조선, 채널A 공동 주관 토론회에 참석해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여권 ‘만년 2위’ 대선 후보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근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당 예비경선을 거치며 지지율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는 게 근거다. 지지율 1위 이재명 경기지사에 거부감을 갖는 친(親)문재인 성향 지지자들이 이 전 대표를 차선으로 택해 결집한 효과라는 분석도 있다.

해석은 분분하다. 한껏 고무된 이 전 대표 측은 ‘대역전의 시작’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지만 여론조사 방식에 따라 결과가 갈리고, 설령 지지율이 올랐다고 해도 이 지사의 거친 입담 등으로 인한 반사이익 성격이 커 추가 상승엔 힘이 달린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재명-이낙연 지지율 추이.

이재명-이낙연 지지율 추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9, 10일 실시한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를 보면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은 18.1%로 여권 주자 중 이 지사(26.9%)에 이어 2위였다. 같은 기관이 민주당 예비경선 시작 이전인 지난달 25, 26일 진행한 조사에서 두 사람의 지지율이 각각 11.5%, 28.4%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할 때 격차가 절반 가까이(16.9→8.8%포인트) 좁혀졌다. 특히 이 전 대표는 예비경선 전후로 △20대 유권자(12.5→22.7%) △충청권(9.7→23.8%) △민주당 지지자(27.7→38.4%) △지지정당 없음(7.7→14.2%) 등에서 오차범위(±3.1%포인트)를 초과하는 선전을 보였다. 수치만 보면 “양과 질 모두를 잡았다”고 캠프가 자평할 만했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뉴시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뉴시스


다른 조사에서는 "지지율 변화 없어"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특정 여론조사기관에 국한된 결과다. 조사기관에 따라 지지율 변화가 천차만별이어서 상승폭을 단정할 수 없다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4개 여론조사기관(코리아리서치ㆍ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한국리서치)의 공동 조사 결과 추이를 들여다보면 예비경선 전후로 두 주자의 지지율 변동에는 큰 차이가 없다. 6월 28~30일 조사와 가장 최근인 5~7일 조사 결과를 비교해보니 이 지사 지지율은 그대로(27%)였고, 이 전 대표는 9%에서 10%로 횡보했다.

여론조사 방식의 차이가 상이한 결과를 견인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SOI 조사는 녹음된 기계음이 질문하는 자동응답(ARS) 방식인 반면, 4개 기관 공동조사는 실제 사람이 전화면접을 하는 방법으로 실시된다.

물론 정확한 수치는 모르더라도 예비경선을 계기로 이 전 대표의 지지율이 탄력을 받은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민주당 관계자는 “후보 토론회에서 이 지사가 여배우 스캔들과 관련해 감정적 답변으로 일관한 데 따른 실망감과 함께 비(非)이재명계 중 ‘될 사람’을 밀어주자는 친문계 표심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재명 경기지사.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경기지사. 국회사진기자단


반등세 지속 여부는 미지수

관건은 이 전 대표의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지느냐다. 평가는 엇갈린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배우 스캔들 등은 앞으로도 이 지사의 발목을 계속 잡아 이 전 대표처럼 안정적 후보에 대한 선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반면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이 지사가 예비경선 과정에서 대세론을 형성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이 전 대표는 이미 오랜 기간 대중에 노출됐던 인물로 ‘식상하다’는 단점 탓에 지지율을 확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KSOI와 NBS,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성택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