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소재·부품서 한 단계 도약한 기술 독립, 이젠 ‘장비’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2년 전 일본이 한국에 대해 시행한 반도체 생산 필수항목의 수출규제는 국내 소재와 부품, 장비(소부장) 국산화엔 자극제로 다가왔다. 소부장 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수요기업인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의 조력으로 소재와 부품의 일본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처 다변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다. 다만 장비 분야 국산화율이 20% 수준이다 보니, 수입처에서 일어날 여러 변수에 대비한 공급망 안정화도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떠올랐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일단 일본이 수출규제를 선언했던 3대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 노력 및 공급처 다변화는 긍정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불화수소의 국산화가 이뤄졌고, 지금도 일본에 절대 의존하고 있는 품목인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는 지난해부터 도쿄오카공업(TOK) 국내 법인(TOK첨단재료)이 인천 공장에서 EUV용 포토레지스트를 생산하고 있어 공급처를 확보한 건 긍정적인 변화”라고 짚었다. 수많은 소재·부품 가운데 일부 품목의 국산화가 도드라진 점을 침소봉대하는 건 경계해야 하지만, 2년 전 일본처럼 갑작스럽게 수출규제 방침을 내리거나 화재, 파업 등 변수가 발생했을 때 공급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국가별·지역별 공급처를 다변화해야 결국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 특정 소재·부품 공급처가 멈춰 섰을 때 반도체 공장이 멈춰 설 가능성을 줄이는 과정에서, 국내 공급처가 늘어난 건 고무적이란 얘기다.
하지만 장비시장의 상황은 다르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반도체 장비 수입액은 48억7,000만 달러(약 5조5,000억 원)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 정만태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소재·부품 국산화는 (일본 수출규제 이전부터) 오랜 시간 고민을 해온 터라 일본 수출규제 발표 직후 정부와 기업 간 협의가 빠르게 이뤄졌지만, 장비 산업에 대한 정부 대책이 상대적으로 일천했던 부분은 있다”며 “많은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과 노광장비를 사실상 독점한 네덜란드, 산업 기반이 잘 닦인 일본을 추격하는 데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국내 기술력으로 ‘해낼 수 있는 것부터’ 차근히 육성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장비산업은 당장 획기적인 성장을 보이긴 어렵지만, 수요기업이 축이 돼 국내 생산이 가능한 장비들을 개발하는 방향이 옳다”며 “장비 기업이 수요기업 근처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장 부지 문제에 대한 고충도 들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도 “지난해 시행된 ‘소부장 특별법’에 따라 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으로 좋은 결과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