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청년특임장관 신설 제안"... 이준석 바람에 '청년·변화' 강조

입력
2021.06.16 14:00
수정
2021.06.16 14:08
1면
구독

청년 21번, 변화 9번 언급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청년 문제를 총괄하는 청년특임장관 신설을 제안했다. 2030세대의 전폭적 지지를 바탕으로 한 '이준석 현상'을 의식해 정치권에 대한 누적된 불만과 쇄신 요구에 적극 부응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민주당은 지난해 21대 총선에서 청년 특임장관 신설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이후 이행하지 않았다.

송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현재를 '청년 재난의 시대'로 규정하고 "파편적이고 단기적인 청년대책이 아닌,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장관직은 청년들의 주거, 일자리, 교육 등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은 물론, 청년들이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30세대를 호명하며 "그동안 우리 민주당은 여러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또 "공감은 물론 대변하는 것도 부족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공정과 정의의 가치 기준에 부합하지 못했다"고 자세를 낮췄다. 송 대표는 '청년'을 21번 거론했다. 최근 정치권에 불어닥친 세대교체 요구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준석 대표에 대한 당부도 있었다. 송 대표는 "이준석 대표 체제는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5·18 묘역에서 무릎 꿇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사과한 기반 위에서 탄생했다"며 "국민의힘이 탄핵의 강을 넘어 합리적 보수로 발전해 가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부동산은 “누구나집으로 공급 확대”

송 대표는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정부와 민주당은 추가 부지를 발굴해 공급 폭탄에 가까운 과감한 공급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특히 청년 주거와 관련해 인천시장 재임 시절 대표 정책으로 추진했던 '누구나집' 정책을 10번이나 언급했다. 그는 "누구나집은 공공임대주택과 달리 임차인으로 살면서도 자기 집을 가질 수 있는 희망이 있는 집"이라며 "주택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의 처리도 예고했다. 송 대표는 "당정은 소상공인 피해 추가 지원,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신용카드 캐시백 등 '3종 패키지'를 중심으로 추경을 편성하겠다"고 했다. 신용카드 캐시백은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내수 소비 진작을 염두에 둔 것이다. 올해 3분기 신용카드 사용액이 2분기보다 많으면 증가분의 일정비율을 현금으로 돌려주겠다는 방안이다.

검찰·언론개혁 주장...'검수완박'은 장기 과제로

그는 검찰개혁과 관련해선 "1단계 검찰개혁이 잘 뿌리내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종국적으로는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고 했다. 이른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당장 추진하기보다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것이다.

언론개혁에 대해선 "악위적 허위 보도로 인한 피해 구제를 위해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하겠다"며 "포털이 좌우하고 있는 미디어 생태계를 개선하는 문제도 시급하다"고 했다.

'내로남불' 반성하며 '변화' 강조

4·7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한 반성문을 써내려가며 민주당은 물론 정치권의 '변화'를 강조했다. 송 대표는 "집값 상승과 조세 부담 증가, 정부와 여당 인사의 부동산 관련 내로남불에 대한 심판이었다"며 "5월 전당대회를 통해 민주당은 새로운 변화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변화'에 대한 언급도 9번에 달했다.

당심과 민심이 괴리된 이유에 대해선 "당내 민주주의와 소통의 부족 때문이었다"며 "특정 세력에 주눅 들거나 자기 검열에 빠지는 순간, 민주당은 민심과 유리되기 시작하는 것"이라고 했다. 당 운영 과정에서 강성 지지층에 휩쓸리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성택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