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탈 때마다 175원, 中 고령화가 만든 ‘유료’ 엘리베이터

입력
2021.05.30 13:00
수정
2021.05.30 14:12
16면
구독

中 항저우 아파트, '1위안'씩 내고 타는 승강기 등장
설치·유지비 주민 부담 '0', 계단 힘겹던 노인들 환영
"주민-업체 윈윈, 고령화 문제 창의적 해법" 띄우기
"그래도 비싸, 사생활 침해, 배달직원 차별" 지적도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아파트에 설치된 '유료' 엘리베이터. 주민의 얼굴을 인식해야 작동한다. 한번 이용할 때마다 계정에서 1위안이 빠져나간다. 대신 설치와 유지 비용은 업체가 모두 부담한다. 노인 인구가 늘면서 노후 아파트 주민들은 엘리베이터 없이 계단 오르기가 고역이었다. 이에 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중국 사회의 창의적 해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펑파이 캡처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아파트에 설치된 '유료' 엘리베이터. 주민의 얼굴을 인식해야 작동한다. 한번 이용할 때마다 계정에서 1위안이 빠져나간다. 대신 설치와 유지 비용은 업체가 모두 부담한다. 노인 인구가 늘면서 노후 아파트 주민들은 엘리베이터 없이 계단 오르기가 고역이었다. 이에 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중국 사회의 창의적 해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펑파이 캡처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 린안구. 엘리베이터에 탄 아파트 주민이 모니터를 들여다본다. 얼굴을 인식하고 나서야 버튼을 누른 층수로 움직인다. 미리 충전한 계정에서는 1위안(약 175원)이 빠져나갔다. 버스나 지하철처럼 탈 때마다 돈을 내는 ‘공공’ 엘리베이터다.

2003년 6층짜리 아파트(1,849가구) 단지를 지었다. 엘리베이터는 없었다. 20년 가까이 지나면서 60세 이상이 전체 주민의 30%를 넘어섰다. 마오창위에(毛昌躍)씨는 18일 인민일보에 “젊은 사람들은 몰라, 얼마나 끙끙대며 5층까지 올라 다녔는지”라고 토로했다.

엘리베이터가 간절했다. 하지만 비용부담이 너무 컸다. 설치비용만 1대당 30만 위안(약 5,250만 원)에 달했다. 1·2층을 제외하고 엘리베이터 양쪽 3~6층의 8가구가 각자 4만 위안(약 700만 원) 가량의 목돈을 내야 했다. 유지 비용은 별도다. 엄두가 나지 않았다.

리모델링 업체가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다. 무료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대신 이용 횟수마다 1위안을 받기로 했다. 깔끔하게 수익자 부담으로 정리한 것이다. 위층과 아래층 주민이 설치비, 전기세 등 온갖 비용을 놓고 다툴 필요가 없었다. 동의절차가 일사천리로 진행돼 114대를 아파트 외벽에 달았다.

중국 항저우의 노후 아파트 외벽에 설치한 유료 엘리베이터. 아파트 건설 당시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던 곳이다. 광명일보 캡처

중국 항저우의 노후 아파트 외벽에 설치한 유료 엘리베이터. 아파트 건설 당시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던 곳이다. 광명일보 캡처


노인들은 “이제 손주를 데리고 마음껏 밖에 나갈 수 있다”며 반겼다. CCTV 등 중국 매체들은 “주민과 업체가 윈윈하는 새로운 성공 모델”로 앞다퉈 소개하며 “고령화 문제의 창의적 해법”이라고 치켜세웠다. 중국 65세 이상은 전체 인구의 13.5%로, 고령화사회를 넘어 ‘고령사회’ 진입(14%)이 임박했다. “계단 오르내리기는 고강도 운동”이라며 버거워하던 고민이 사라졌다.

특히 중국 전역의 노후 주거단지 개조사업 열풍과 맞물려 각광을 받았다. 도시 거주 노인의 70% 이상은 1980~2000년에 지어진 엘리베이터가 없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 신규 엘리베이터 수요는 200만 대를 웃돈다. 향후 5년간 중국 엘리베이터 산업은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해 2025년 시장규모가 3,000억 위안(약 52조5,000억 원)으로 팽창할 전망이다.

‘1위안’의 편리함이 탐탁지 않다는 반응도 적지 않다. 웨이보 설문에서 절반가량은 "너무 비싸다"고 답했다. 하루 10차례 드나들면 20위안, 일 년이면 7,200위안(약 126만 원)을 내야 한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면 미리 안면인식 정보를 입력해야 하니 사생활 침해 소지가 다분하다. 중국 대도시 주민들이 아파트 출입구 감시카메라를 '통제용'이라며 반발하는 추세에도 역행한다. 음식이나 택배 배달 직원의 경우 집주인이 허락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를 탈 수 없어 '차별'이란 지적도 나온다.

베이징= 김광수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