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외할머니의 고통을 놓친 '주치의' 손주는 펑펑 울었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라면 평생 잊지 못할 환자에 대한 기억 하나쯤은 갖고 있을 것이다. 자신이 생명을 구한 환자일 수도 있고, 반대로 자신에게 각별한 의미를 일깨워준 환자일 수도 있다. 아픈 사람, 아픈 사연과 매일 마주하는 의료종사자들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외할머니가 입원하셨다. 동생을 출산한 뒤 몸이 좋지 않았던 어머니를 대신해 나를 정성으로 길러 주신 한없이 고마운 분. 공부가 많고 바쁘단 핑계로 자주 뵙지도 못했는데, 이젠 환자가 되어 의사가 된 손주와 병원에서 마주하게 되었다.
몸집이 작았던 할머니는 힘든 수술을 받아 컨디션이 좋지 않았고 약 기운에 늘 졸고 있었다. 그럼에도 주치의가 된 손자가 찾아갈 때면 박수를 치며, “아이구 내 새끼! 어이구 내 새끼!” 하고 반겼다. 그럴 때마다 병실에 있던 다른 환자나 보호자, 간병인들의 시선은 내게 쏠렸다. 나는 그게 괜히 부끄럽고 싫었다. 커튼을 치고 할머니에게 여기서 그렇게 부르면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하기도 했다.
돌아보면 참 까칠했던 시절이었다. 의대 졸업 후 첫발을 내디딘 병원에서 내 신분은 의사라기보다 교육생에 가까웠다. 교수님과 선배 의사, 간호사를 비롯한 다양한 직업군의 동료들, 그리고 환자와 보호자와 간병인 등 많은 사람들과 생활하면서 내 위치는 모자란 실력만큼이나 보잘것없게 느껴졌다. 하루 종일 울려대는 전화기와 나를 기다리는 수술방, 응급실, 병동, 그리고 수많은 환자와 보호자 속에서 나는 항상 날이 서 있었다. 착하고 친절하게 굴수록 내 일이 많아지는 것 같았고, 일부러 까칠하게 행동해야 내가 좀 편해질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었다.
얼마 후 할머니는 퇴원했고, 요양원으로 갔다. 하지만 거기서 넘어지는 바람에 반대편 대퇴골 골절로 다시 입원하게 됐다. 첫 수술하고 2년이 지나 또 한번 수술을 해야 했다. 나는 이제 제법 후배도 생겼고, 병원 생활이 익숙한 중견 레지던트였다. 다행히 수술은 잘 마쳤지만 할머니의 상태는 더 나빠졌다. 하루 중 깨어있는 시간이 얼마 안 될 정도로 기력이 쇠했다. 가끔 내가 손자라는 사실조차 까먹는 듯했다.
무척이나 더운 8월의 어느 날이었다. 전공의들이 돌아가면서 여름 휴가를 떠났다. 선배 레지던트가 회진을 준비하다 갑자기 놀란 기색으로 나를 불렀다. 며칠 지난 할머니의 엑스레이였다. 아뿔싸! 인공관절이 제자리에서 빠져 있었다. 할머니의 약해진 근육은 수술 후 더 늘어났고, 잠결에 몸을 뒤척이다가 그만 관절이 빠진 것이었다. 항상 누워 있었던 탓에 몸을 뒤척일 때면 아픈 표정을 지었는데, 나는 그냥 그러려니 여겼던 것이다.
그럼에도 할머니는 회진 때면 항상 기특한 손자라며, 힘껏 팔을 들고 박수를 치고 내 이름을 불렀다. 휴가로 인력이 빠진 데다 다른 중증환자들을 챙기느라 미처 꼼꼼히 들여다보지 못한 탓이지만, 그래도 남도 아닌 손주인 내가 할머니 엑스레이를 놓쳤다니. 내 자신이 원망스러웠다.
곧장 병실로 달려갔다. 할머니는 그날도 비몽사몽하시다가 달려온 내 얼굴을 보며 '오메, 내 새끼'하며 팔을 들었다.
“할머니, 많이 아프지? 할머니, 근데… “
가쁜 숨을 몰아 쉬며 이야기하는데, 갑자기 왈칵 눈물부터 났다. 그동안 얼마나 불편하고 아팠을까? 그렇게 좋아했던 할머니가 여기 계신데, 난 왜 신경 쓰지 못했을까? 할머니는 별안간 눈물을 뚝뚝 흘리는 나를 보시더니 울지 말라고 눈물을 닦아주었다. 어긋난 인공관절을 넣기 위해 방사선실로 가는 내내 나는 할머니가 누워있는 이동식 침대를 붙잡고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다.
그날 이후, 많은 것이 달라진 것 같다. 의사로서 대부분 지시만 했던 나는 이제 보호자가 되어 지시 아닌 부탁을 하게 됐고, 관계된 모든 분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그렇게 돌아다니다 보니 병원공간이 새삼 다르게 느껴졌다. 눈인사하고 대화하고 안부를 묻고 감사를 표현하자 그토록 힘들던 일이 그리 힘들지만은 않았다. 한 사람의 의사이자 가족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소중한 가치를 알아가게 되었다. 할머니는 그렇게 내게 또 한 번 가르침을 주었다.
합병증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던 할머니는 요양병원으로 가셨다. 어느 추운 겨울, 일요일이었다. 송년회를 마치고 무척 피곤했지만, 그날 따라 할머니가 보고 싶었다. 이른 새벽 할머니가 계신 요양병원으로 향했다. 누워만 있던 할머니의 몸은 나뭇가지처럼 말랐고, 틀니 없이 계속 물었던 윗입술에 굳은살이 박혀 있었다. 따스한 햇살에 눈이 부신 건지 눈꺼풀을 들기도 힘들었던 건지 반쯤 감은 눈으로 창 밖을 응시하고 있었다.
다가가 얼굴을 들이대며 부르자 살며시 내 쪽으로 고개를 천천히 돌려 눈을 마주했다. 입술을 움직여내는 소리는 알아듣기 힘들었고, 내 얼굴을 만지려고 뻗은 두 손은 내 볼에 닿기에 턱없이 부족했다. 두 손에 얼굴을 비비며 울음을 꾹 참고 고맙다고 사랑한다고 말씀드리는데, 할머니가 뭐라고 말하려는 것 같았다. 그 소리에 귀를 가까이 했다. 작지만 또렷했다.
“잘.. 컸.. 다.. 잘.. 컸.. 다..”
그리고 할머니는 다음날 우리 곁을 떠났다.
지금도 어르신들을 진료할 때면 문득문득 외할머니의 얼굴이 떠오른다. 무관심한 표정으로 말문을 열지 않아도, 귀가 안 들려 크게 소리쳐야 해도, 가끔 지쳐서 볼멘소리를 하셔도, 나는 할머니가 고맙고 그립다.
※잊지 못할 환자에 대한 기억을 갖고 계신 의료인이라면 누구든 원고를 보내주세요. 문의와 접수는 opinionhk@hankookilbo.com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선정된 원고에는 소정의 고료가 지급되며 한국일보 지면과 온라인뉴스페이지에 게재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