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게임 중독에 ADHD 동반하면 치료율↓재발률↑

입력
2021.04.22 17:36
수정
2021.04.22 17:45
구독

게임 중독인 사람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까지 동반하면 치료율은 낮아지고 재발률은 높아진다. 게티이미지뱅크

게임 중독인 사람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까지 동반하면 치료율은 낮아지고 재발률은 높아진다. 게티이미지뱅크

‘게임 중독’으로 불리는 인터넷게임장애(IGD)에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까지 동반하면 게임 중독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복 후에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가 의심된다면 우선 ADHD를 앓는지 확인해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붕년·이정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한덕현 중앙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ADHD 공존 여부가 인터넷게임장애의 장기적인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를 내놨다.

ADHD는 소아-청소년-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정신과적 문제로 아동ㆍ청소년 5~10%, 성인 2~5% 정도가 앓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터넷게임장애는 게임에 대한 통제력이 저하해 학업ㆍ대인 관계ㆍ가족 관계 등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하거나 부정적 결과에도 게임을 중단하지 못하는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때를 말한다. 아직 질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2013∼2015년 인터넷게임장애만을 진단받은 환자 128명(pure-IGD군)과 인터넷게임장애와 ADHD가 공존하는 환자 127명(ADHD-IGD군)을 3년간 추적 관찰해 비교·분석했다. 증상은 물론 사회적 불안, 가정환경 등도 함께 평가했다.

그 결과 3년 후 인터넷게임장애 회복률은 ADHD와 인터넷게임장애가 공존한 환자의 경우 60%, 인터넷게임장애만 있는 환자는 93%에 달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두 가지가 공존했을 때 회복률이 낮고, 1년 이내에 재발할 우려가 컸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ADHD 증상 감소와 인터넷게임장애 증상 감소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정환경도 인터넷게임장애 증상을 줄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터넷게임장애 환자 회복을 위해서는 가정환경을 개선하는 등 가족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ADHD가 인터넷게임장애 회복과 재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인터넷게임장애를 호소하는 환자가 왔을 때 ADHD와 같은 공존 질환이 있는지 확인 후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아동·사춘기 정신건강학회 학술지 ‘아동 심리학·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최신호에 실렸다.

3년간 IGD 누적 회복률. 1, 2, 3년 차 회복률이 pure-IGD군은 49%, 57%, 93%인 반면 ADHD+IGD군은 17%, 42%, 60%로 낮은 회복률을 보였다. 서울대병원 제공

3년간 IGD 누적 회복률. 1, 2, 3년 차 회복률이 pure-IGD군은 49%, 57%, 93%인 반면 ADHD+IGD군은 17%, 42%, 60%로 낮은 회복률을 보였다. 서울대병원 제공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