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美, 기후대응 리더 자격 있나”… 中, 시진핑ㆍ바이든 첫 조우 앞두고 못마땅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23일(현지시간) 기후정상회의를 주재한다. 이 자리에서 2030년까지 미국 온실가스 배출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구상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40여 개국 정상과 더불어 시진핑(習近平) 주석도 참석할 예정이다. 중국 외교부는 “시 주석이 중요 담화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새로운 구상을 내놓으면, 이는 다른 국가의 온실가스 저감 속도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의 노골적인 견제가 달갑지 않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투자 세계 최대인 중국을 제치고 미국이 리더 행세를 한다며 불만이 크다. 글로벌 협력이 필수적인 기후분야에서도 미중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하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자극하는 불쏘시개를 자처했다. 그는 19일 ‘기후변화와 미국의 리더십’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미국이 신재생에너지 혁명을 주도할 수 없다면 중국과의 장기 전략경쟁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며 “우리는 뒤처지고 있다”고 단언했다. 이어 “세계 신재생에너지 특허의 3분의 1을 보유한 중국을 따라잡지 못하면 미국은 수많은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정상회의 잔치를 앞두고 환영 메시지를 전하기는커녕 중국을 표적으로 위기감을 고조시킨 셈이다.
중국은 발끈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1일 “미국의 냉전적 사고 때문에 중국과 몇 안 되는 협력분야인 기후대응마저 교착상태로 몰아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미국이 이번 회의를 주최하는 속셈이 드러났다는 주장이다. 전날 시 주석이 보아오포럼 개막 기조연설에서 “신냉전과 이념 대결에 반대한다”고 천명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리하이둥(李海東) 중국외교학원 교수는 “기후 문제에 대한 미국의 불안감을 보여준다”면서 “중국에 경쟁적이거나 적대적인 노선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뤼샹(呂祥)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중국과 기후협력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미국이 또다시 제재를 무기로 휘둘러 큰 타격을 가할 것이라는 경고의 의미”라고 해석했다. 바이든 정부가 국제사회 리더십 회복을 강조하지만, 실상은 중국을 억누르기 위해 자국의 이익에 따라 오락가락하는 이기주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에 중국은 기후대응의 주요 해법인 신재생에너지 분야 경쟁력을 내세워 대미 우위를 주장했다. 2019년 기준,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신규 투자는 901억 달러로 미국(590억 달러)을 크게 앞선다. 관련 특허도 중국 15만 건, 미국 10만 건(2016년 기준)으로 차이가 크다. 환경단체인 국립자원보호위원회 양푸창(楊富强) 선임고문은 “기후 도전에 대처하는 중국이 연구·개발(R&D)과 제조 능력, 첨단기술 개발 등에서 미국을 능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과 갈등이 증폭되는 건 중국으로서도 부담이다. 정치ㆍ군사ㆍ경제적으로 대립하는 상황에서 마지막 남은 기후협력의 끈마저 놔선 안 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시 주석의 기후정상회의 참석을 막판까지 저울질하다 개최 전날에서야 발표한 대목이 중국의 고민을 보여준다. 왕둥(王棟) 베이징대 중미인문교류연구센터 부주임 겸 판구연구소 사무총장은 미 외교전문지 ‘포린 어페어스’에 “중국이 여전히 미국과 공감대가 약하지만 신뢰를 회복하고 관계를 안정시킬 기회는 남아있다”면서 “유학생 비자 발급, 기후 대응, 코로나19 백신 분배 등 접근하기 수월한 사안부터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