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미국과 '백신 스와프'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

입력
2021.04.20 12:20
수정
2021.04.20 13:40
구독

"쿼드와 백신은 무관"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보고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20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보고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0일 "미국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스와프'를 협의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외교부에서 (한미 간) 백신 스와프를 검토한 적이 있냐"는 박진 국민의힘 의원 질문에 "(협의한 적이) 있을 뿐 아니라 미국 측과 협의도 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미국과 백신 스와프 문제를 논의 중이라고 밝히긴 이번이 처음이다.

백신 스와프란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통화 스와프처럼, 백신이 넉넉한 국가가 스와프를 맺은 상대 국가에 백신을 빌려준다는 개념이다. 최근 한국은 백신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데 반해 미국은 여유 분을 확보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한미 당국의 백신 스와프 협의는 미국의 백신 여유 분을 한국에 빌려주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 장관은 백신 스와프 논의가 어느 수준까지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지금 미국 측과 상당히 진지하게 협의하고 있다"면서 "최근 방한했던 존 케리 미국 기후변화 특사와도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이 한국을 찾았을 때도 백신 문제에 관해 논의했다. 여러 차원에서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백신 스와프 체결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박진 의원은 "우리가 쿼드(Quad)에 참여하지 않고 (미국과) 백신 협력이 가능하다고 보느냐"라고 지적했다. 우리 정부가 미국에 백신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중국 압박 외교' 등 반대급부 없이 가능하겠느냐는 취지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미중 간 갈등이라든지 쿼드 참여 등은 (백신 문제와) 직접적 연관이 없다"면서 "미국이나 유럽연합(EU) 등에서도 백신 문제는 정치나 외교적 사안과는 디커플링(탈동조화)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고 답했다.


조영빈 기자
이에스더 인턴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