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후쿠시마 오염수 기준치 이하 안전”... 日 정부 믿을 수 있나

입력
2021.04.13 18:00
3면
구독

문답으로 본 日정부 입장 vs 시민단체 주장

13일 일본 도쿄의 총리관저 밖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지 말라'라고 쓰인 현수막을 들고 시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역 어민과 주민들의 반대 속에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대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2년 후에 태평양으로 방류하기로 했다. 도쿄=AP 뉴시스

13일 일본 도쿄의 총리관저 밖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지 말라'라고 쓰인 현수막을 들고 시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역 어민과 주민들의 반대 속에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대량의 방사능 오염수를 2년 후에 태평양으로 방류하기로 했다. 도쿄=AP 뉴시스

일본 정부는 13일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에 보관돼 있는 오염수를 2년 후부터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62종의 방사성 물질을 거를 수 있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2차 정화한 후 400~500배의 물을 더해 희석하면 국제 기준치를 훨씬 밑돈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설명이다.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 입장과 이를 반박하는 시민단체의 주장을 문답 형식으로 알아본다.

Q. 후쿠시마 ‘오염수’를 일본 정부는 ‘처리수’라고 부르는데 둘의 차이는?

A. 후쿠시마 원전은 2011년 사고 후 수소 폭발로 원자로를 둘러싼 건물의 상단이 날아가는 등 파괴됐고 노심용융(원자로 안의 핵연료가 녹아내림)도 발생했다. 열을 식히기 위해 초기 해수를 주입했고, 지금도 오염수를 정화한 물을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서진 건물로 빗물과 지하수가 스며든다. 도쿄전력은 지하수나 해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을 설치하고 건물도 일부 수리해 오염수 발생량이 2014년 하루 평균 540톤에서 지난해 140톤으로 줄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ALPS 장비로 처리한 후 부지 내 탱크에 보관하는데, 이렇게 한 차례 처리한 물을 ‘처리수’라고 부른다.

Q. ALPS 장비는 방사성 물질을 다 거를 수 있나?

A. 그렇지 않다. 2014년 미국으로부터 ALPS 장비를 도입했던 초기에는 운영 도중 시행착오가 많아 방사성 물질을 기준치 이하로 걸러내지 못했다. 이 때문에 저장된 ‘처리수’의 29%인 32만4,000톤만 배출 기준을 충족한다. 나머지 70% 이상은 ALPS가 걸러낼 수 있는 62종의 방사성물질(핵종)이 기준치 이상으로 남아 있다. 또 삼중수소(트리튬)는 ALPS로도 걸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가 400~500배의 물을 더해 트리튬을 희석시키겠다고 한 것이다. 이 경우 세계보건기구(WHO) 식수 기준치의 7분의 1로 낮아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만큼 배출 기간이 늘어날 수 있지만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총량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Q. 일본 정부가 말하는 ‘국제 기준치’란 무엇인가?

A. 세슘, 스트론튬 등 63개 핵종의 ‘고시농도비율’의 합이 1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일반인 방사선량 한도의 국제기준은 연간 1밀리시버트다. 각 핵종별로 연간 1밀리시버트의 선량을 방출하는 기준량이 다른데, 처리수에 실제 함유된 양이 기준량의 몇 분의 1인지 측정한 값을 고시농도비율이라 한다. 이 비율을 모두 합해 1이 되지 않는다면 연간 1밀리시버트 이하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입장이다.

Q. 일본 정부가 '기준치 이하'라고 말하면 그대로 믿을 수 있나?

A. 그동안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관련해 여러 차례 소통에 실패하고 투명성이 부족했다는 질타를 받았다. 일본 시민단체들도 ‘처리수’에 포함된 62개 핵종의 구체적인 종류와 양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따라서 일본 정부의 말을 그대로 신뢰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증과 모니터링을 통해 신뢰와 투명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만약 한국 정부가 IAEA의 검증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면 신뢰성을 좀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쿄= 최진주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