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결핵 발병률 25년째 1위

입력
2021.04.05 04:30
26면
구독

우리나라 결핵 발병률이 25년째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고수하면서 '결핵 후진국' 오명을 씻지 못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결핵 발병률이 25년째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를 고수하면서 '결핵 후진국' 오명을 씻지 못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얼마 전 ‘결핵 예방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결핵 발병률이 25년째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1위를 지켰다는 기사를 낸 뒤 독자들의 반향이 의외로 컸다. 단순 수치상 결과에 그치지 않고 피부로 느끼는 심각성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일 것이다.

결핵은 산업혁명 후인 18세기 중반에 전 세계적으로 창궐해,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질병이다. 결핵균은 1882년에야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발견돼 1921년과 1940년대에 각각 BCG 예방 백신과 결핵약이 나오면서 ‘잊혀진’ 병이 됐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 결핵은 아직 ‘현재 진행형’이다. 매일 65명의 결핵 환자가 발생하고 5명이 목숨을 잃는다. 이 때문에 ‘결핵 후진국’의 멍에를 벗어 던지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치료 기간이 길고 완치율이 낮은 다제내성결핵 발생률도 1위라는 사실이다. 다제내성결핵은 이소니아지드ㆍ라팜피신을 포함한 2개 이상의 결핵 치료제에 내성(耐性)이 생겨 치료제로도 고칠 수 없는 결핵으로, 환자 1명이 10~15명을 감염시킬 정도로 전파 속도도 매우 빠르다.

이런데도 정부 대응은 미온적이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발표한 ‘2020 결핵 환자 신고 현황’에서 지난해 신규 결핵 환자가 2000년 결핵 감시체계를 만든 이래 처음으로 1만 명대(1만9,933명ㆍ인구 10만 명당 38.8명)로 줄어 2019년(2만3,821명)보다 16.3% 감소했다고 자찬했다.

하지만 임상 현장에서는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박재석 단국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실제로 결핵 환자가 줄어들었다기보다 결핵 의심 환자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병원을 덜 찾아서 진단이 늦어져 발생률이 감소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물론 정부가 결핵 퇴치에 아예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부터 국가건강검진에서 결핵이 의심되면, 확진에 필요한 추가 검사(도말ㆍ배양 검사 최대 3회, 결핵균 핵산 증폭 검사 1회) 비용을 전액 지원한다. 또한 의료기관ㆍ산후조리원ㆍ학교ㆍ유치원ㆍ어린이집ㆍ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결핵 검진을 의무화해 결핵 확산을 막는 노력도 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여기저기 허점이 보인다. 정부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 생후 1개월 이내 모든 신생아에게 BCG 접종을 의무화했지만, 그래도 예방률은 20%에 불과하다. 더 중요한 것은 결핵균에 감염됐지만 실제 발병으로 이어지지 않은 ‘잠복 결핵’을 제대로 관리하는 문제다. 잠복 결핵은 흉부 X선이나 객담(喀痰) 검사로는 진단하기 어려워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 검사’나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IGRA)’를 해야 한다. 이 때문에 미국ㆍ유럽 등에서는 한 번의 채혈로 잠복 결핵까지 걸러내는 IGRA 검사를 우선 권고하고 있다.

우리도 만성콩팥병으로 투석(透析) 중이거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결핵 고위험군인 사람은 검사비의 10%만 부담하면 확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잠복 결핵을 찾아낸다고 결핵 발병률이 당장 현저히 떨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잠복 결핵을 찾아내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첫걸음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제 25년째 37개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병률 1위라는 오욕을 끊어내야 할 때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