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제보 묵살, LH만 아니다"... 지난해 7월 제보자 靑청원 호소

입력
2021.03.29 15:30
수정
2021.03.29 16:01
구독

"LH 퇴직자, 거주 않는 주공아파트 5채 보유" 주장
"국민신문고·청렴포털 등 수십 군데에 제보·묵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투기 의혹 사실을 지난해 7월 LH에 제보했던 제보자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을 올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투기 의혹 사실을 지난해 7월 LH에 제보했던 제보자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을 올렸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7월 LH 직원의 투기 의심 행위에 대한 제보를 받고도 이를 무시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관련 의혹 제보자가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을 제기했다. 청원인은 "당시 제보를 묵살한 것은 LH만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29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저는 뉴스에 나왔던 2020년 LH 투기의 최초 제보자입니다'라는 글이 올라와 있다.

앞서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은 "지난해 7월 말 LH 레드휘슬(부조리 신고)에 '개발 토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한 부적절한 행위'라는 제목의 제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퇴직 직원 A씨가 LH 재직 시 개발되는 토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해 부인 혹은 제3자의 이름으로 토지를 사들였다는 내용이다. 당시 LH 측은 8월 중순쯤 "퇴직 직원 관련 사항은 규정에 따른 감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해당 신고를 자체 종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청원인은 "(당시) 많은 기관에서 고위 공직자라는 이유로 조사를 거부했다"며 "LH 부동산 투기에 대해 대상을 10년 이상으로 늘릴 수가 없다면 적어도 제보를 받은 것이라도 조사해 달라"고 적었다.

청원인은 "퇴직자에 대한 조사가 10년 전까지 하는 것이 정말 힘들다는 것 잘 알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적어도 제보를 받았다면 그것은 조사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청원인은 A씨에 대해 "고위 공직자가 그것도 LH에 재직했던 사람이 거주하지도 않음에도 주공아파트 5채 (보유)가 말이 되나"라며 "이 마저도 재산 명세로 신고한 내용으로, 신고한 게 이 정도인데 신고하지 않은 건 얼마나 있겠냐"고 강조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투기 의혹 관련 제보에 대한 LH 측의 답변.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투기 의혹 관련 제보에 대한 LH 측의 답변.

청원인은 이 같은 내용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외에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올렸다.

그는 "정말 오랜 시간 망설이다 제보로 많은 것을 바꿀 수 있다고 믿고 행동했지만 묵살당하고 자포자기했다"며 "LH 포함 국민신문고, 청렴포털, 각 지역 제보 가능한 곳 등 수십 군데에 제보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감사 담당관, 공무원 등 모두 대놓고 문제가 없다고 하고 그냥 끝내 버렸다. LH에는 두 번 제보했었다"며 레드휘슬 게시판을 캡처한 이미지를 첨부했다.

이 게시물 작성인은 "LH 직원, 공무원, 국회의원 등 고위 공직자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모든 편의를 누리고 있다. 그들의 특권 의식이 없어지려면 우리가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내부 정보를 이용해 특권을 누리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그런 시대는 끝났다는 것을 몸으로 느끼게 해 줘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소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