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윤석열, 국민의힘으로 와야... 제3 정당으론 정권 교체 힘들어"

입력
2021.03.29 12:15
수정
2021.03.29 14:31
구독

"국민의힘, 尹 들어올 수 있는 변화·혁신 보여 줄 것"
"현 정권에 실망한 중도층, 국민의힘에 우호적 "
"오세훈 내곡동 땅 의혹, 선거에 큰 임팩트 없어"

지난해 11월 25일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이 서울 여의도 희망22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지난해 11월 25일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이 서울 여의도 희망22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국민의힘 서울시장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29일 "최근 중도층이 국민의힘에 많이 우호적으로 바뀌었다"며 오세훈 후보의 당선을 낙관했다. 야권 대권 주자이기도 한 유 전 의원은 유력 대선 주자로 떠오른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해 "아주 좋은 야권 후보"라며 "국민의힘으로 들어와 같이 가자"고 제안했다.

유 전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윤 전 총장에 대해 "아주 강력한 경쟁자"라고 상승세를 인정하면서도 "아직 대선이 1년 남아 있고 몇 번 민심이 출렁거릴 계기가 있다고 생각, 부동산을 포함해 내 강점인 경제 분야가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거기에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고 '윤석열 대세론'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어차피 내년에 정권 교체하려면 야권의 가장 경쟁력 있는 단일 후보를 뽑아야 한다"며 "국민의힘이 나를 포함해 윤 전 총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홍준표 무소속 의원 등을 상대로 모두 문을 열고 그 안에서 경선을 해 단일 후보를 뽑는 게 우리의 큰 전략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치를 처음 시작하면 국민의힘에 들어오기가 꺼려질 수 있다"며 "그만큼 국민의힘도 변화와 혁신을 보여 줘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윤 전 총장과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주축이 되는 '제3 지대' 세력화가 거론되는 데 대해서는 "제3 지대·제3 정당을 만든들 나중에는 결국 합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내곡동 땅 문제, 오세훈 권한 남용 증거 없어"

유승민(왼쪽) 국민의힘 서울시장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이 26일 서울 용산구 용문시장 네거리에서 거리 유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자리를 함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유승민(왼쪽) 국민의힘 서울시장선거대책위원회 공동선대위원장이 26일 서울 용산구 용문시장 네거리에서 거리 유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자리를 함께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유 전 의원은 오세훈 후보의 서울시장 당선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선거 결과는 중도층이 얼마나 투표에 참여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최근 중도층이 국민의힘에 우호적으로 바뀌었다"며 "부동산 대책 실패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 공정·정의·상식에 대한 갈망이 현 정권에 대한 실망으로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난 총선에 비해 확연히 느낄 수 있을 만큼 중도층이 이 정권에서 돌아섰다"며 "돌아선 민심을 국민의힘이 얼마나 흡수할 수 있느냐가 숙제"라고 덧붙였다.

유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이 LH 땅 투기와 관련한 부당 이익을 몰수하기 위한 소급 적용 입법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저질러 놓고 보자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그는 2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LH 방지법'에 대해 "소급 적용하고 싶으면 민주당이 할 수 있었다"며 "분위기가 계속 안 좋으니까 그거라도 하겠다고, 속된 표현이지만 선거 전에 일단 좀 질러놓고 보자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유 전 의원은 오 후보의 '내곡동 땅 셀프 보상' 의혹에 대해서는 "오 후보가 그 땅이 지구 지정될 때 당시 시장으로서 권한을 남용했느냐가 제일 중요한 문제"라며 "이제까지는 아무런 증거가 나온 게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또 "오 후보가 초반에 기억이 왔다 갔다 한 것 같은데, 민주당은 이를 갖고 거짓말한다고 이야기한다"며 "그 사안 자체가 거짓말할 이유가 별로 없고 내곡동 땅 문제는 10년 전 선거에도 나왔던 이슈를 민주당이 재탕하는 것이어서 선거에 큰 임팩트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김소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