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라인' 보안문제 제기한 日아사히, 이번엔 "왜 서버가 한국에 있나"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국민 메신저'라 불릴 수 있는 무료 통신 앱 ‘라인’(LINE)에 대해 고객 개인정보 보안 문제를 제기한 아사히신문이 이번엔 이용자들이 주고받는 데이터가 한국의 서버에 저장되는 점을 문제 삼았다.
아사히신문은 18일 라인 이용자 간에 주고받는 대화 서비스의 모든 사진과 동영상이 한국에 있는 서버에 보관되고 있다고 주의환기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이용자들이 볼 수 있는 라인의 개인정보 관련 지침에는 그런 상황이 충분히 기술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는 2012년 메신저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교환할 수 있게 됐을 당시부터 지속돼 왔다. 신문은 한국 서버에 스마트폰 결제인 ‘라인페이’ 거래 정보도 저장되며, 다만 이름이나 주소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서버의 접근 권한은 한국에 있는 라인의 자회사 ‘라인 플러스’ 직원이 갖고 있다. 데이터는 복수의 서버에서 분산처리해 접근 권한이 있는 직원도 구체적인 이미지나 동영상 내용을 볼 수는 없다. 이와 관련, 라인의 최고전략마케팅 책임자인 마스다 준씨는 “서버 구축이나 비용 면에서 (일본에 비해) 한국이 유리했다”고 설명했다.
아사히는 “방대한 데이터를 해외 서버에 보관하는 기업은 드물지 않다”면서, 라인 측이 이번 논란을 계기로 개인정보 보호 지침의 기술 내용을 더 구체화하고 한국 서버에 보관된 데이터를 올해 중반 이후 일본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추진키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애초 네이버가 출시한 라인의 데이터가 한국에 있는 점을 문제 삼는데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가 적지 않다. 구글이나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일본인이 많이 쓰는 다른 글로벌 IT 대기업과 비교해도, 이용자들이 올리는 사진이나 영상을 모두 자국 서버에 보관해야 한다고 여기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라인 역시 일본에서 일본인들만 쓰고 있지는 않다.
라인은 일본 내 월간 이용자가 8,600만 명에 달하는 국민 메신저다. 아사히는 전날 라인이 서비스에 사용하는 인공지능(AI) 등의 개발을 중국 상하이에 있는 업체에 위탁했다며, 이 업체 직원 4명이 접근 권한을 갖고 있어 자칫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될 상황이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라인을 통해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 정부기관이나 지자체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아사히는 덧붙였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