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동남아 연구자들 "미얀마 사태, 한국 정부·유엔도 나서라" 성명

입력
2021.03.15 15:09
수정
2021.03.15 15:16
구독

국내의 동남아 지역 연구자들이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저항하는 시민의 불복종 운동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는 국내 대학교 소속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14일 자정 기준 154명이 서명했다. 연구자들은 시민들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한편, 한국 정부와 유엔 등 국제기구들에 실효적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14일 미얀마 양곤에서 열린 군부 쿠데타 반대 촛불집회가 열려 시위대가 휴대전화 불빛을 밝히고 있다. 미얀마 군정이 양곤의 두 곳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유혈 진압을 이어가면서 이날만 최소 38명이 숨졌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양곤=AP 뉴시스

14일 미얀마 양곤에서 열린 군부 쿠데타 반대 촛불집회가 열려 시위대가 휴대전화 불빛을 밝히고 있다. 미얀마 군정이 양곤의 두 곳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유혈 진압을 이어가면서 이날만 최소 38명이 숨졌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양곤=AP 뉴시스


연구자들은 성명에서 "지난해 총선 결과는 미얀마 민심이 군부가 지배하는 과거와 결별하고 문민우위의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주었다"면서 "시민 불복종 운동에 나선 시민들은 민주적 개혁과 자치, 평화와 공존을 원하는 미래 세력"이라고 밝혔다. 연구자들은 동남아의 번영이 역내 평화와 민주주의 전진 결과임을 확신한다면서 미얀마 군부의 퇴진과 민주주의의 회복을 호소했다. 다음은 성명에 담긴 요구사항이다.

하나, 미얀마 군부는 자국민에 대한 국가폭력을 즉각 멈추고, 구금자와 정치범을 석방하고, 권력을 즉각 민간에 이양하라!

둘, “사람중심의 평화와 번영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신남방정책을 표방해 온 한국정부와 국회는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구체적 조치를 마련하라!

셋, UN과 아세안은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특히 무기 수출금지를 포함한 실질적 조치를 마련하라!

한국의 동남아 지역 연구자 일동

김민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