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민주당, 문 대통령 사저 공격에 "盧 때 '아방궁' 촌극 잊었나"

입력
2021.03.13 15:32
구독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단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단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문재인 대통령 사저 부지를 둘러싼 야권의 공세에 “노무현 대통령을 향해 갖은 공격을 퍼부었던 '아방궁' 사저 논란이 희대의 촌극으로 기억되고 있음을 잊지 말라”고 경고했다.

허영 대변인은 13일 서면 논평에서 “사저 부지에 대한 해명은 더 이상 덧붙일 것도 없이 완결된 사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야권의 공세가 터무니없다는 것이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사저 앞에서 열린 관광객들과의 만남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사저 앞에서 열린 관광객들과의 만남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아방궁’ 사저 논란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 사저를 두고 2008년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의 공세로 불거졌다. 홍준표 당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처럼 ‘아방궁을 지어 사는 전직 대통령은 없다. 봉하마을을 방문하고 대변인도 이 문제를 중점 부각시키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과 달리 지방에 사저를 지었는데, 한나라당이 대지 1만평 등 부지 면적을 문제 삼아 ’아방궁‘이라고 비판한 것이다.

당시 공세와 달리 실제로 노 전 대통령의 사저는 대지 4261㎡(1289평)에 370㎡(112평)짜리 1층 단독주택 건물이었다. 공사비와 설계비엔 12억원이 투입됐다. 문제가 된 대지 1만평은 국가 소유로 건립된 경호동까지 포함된 면적이었다.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림축산식품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사저 농지법 위반 의혹과 관련해 질의하고 있다. 2020.10.07. 오대근 기자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농림축산식품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사저 농지법 위반 의혹과 관련해 질의하고 있다. 2020.10.07. 오대근 기자


허 대변인은 “새로운 사실도 없는 의혹을 주야장천 되풀이하던 국민의힘 현역 의원들이 최근에는 LH 투기 의혹 사건과 엮어보려 애를 쓰고 있다”며 “선거가 목전으로 다가왔다고는 하지만, 부디 이성을 되찾길 바란다”고 했다. 우원식 민주당 의원도 이날 “국회는 대통령 뒷조사를 하는 흥신소가 아니다” 라며 “이미 법적으로 아무문제가 없다고 확인된 대통령의 사저문제를 또 다시 들먹이는 것을 넘어 참다못해 자중을 부탁한 대통령의 한마디에 ‘감정조절 장애'라는 막말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라고 직격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 사저 논란'과 관련한 메시지를 남겼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 사저 논란'과 관련한 메시지를 남겼다. 청와대 제공


계속되는 야권의 공세에 문재인 대통령도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선거 시기라 이해하지만, 그 정도 하시지요”라며 “대통령 돈으로 땅을 사서 건축하지만, 경호 시설과 결합되기 때문에 대통령은 살기만 할 뿐 처분할 수도 없는 땅”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봉하 사저를 보면 알 수 있지 않나요”라고 되물었다.

문 대통령이 강한 어조로 글을 남긴 것은 이례적이다. 국민의힘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투기 의혹과 문 대통령의 사저 농지 매입을 연계하며 의혹을 제기하자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조소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