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총리 출신 대선 주자의 험로

입력
2021.03.09 18:00
26면
구독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퇴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퇴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지난해 8월 임기 2년의 대표에 선출됐으나, 당권과 대권을 분리한 당헌에 따라 대선 출마를 위해 대선 1년 전에 사퇴한 것이다. 하지만 당 대표 취임 당시 24.6%의 지지율(리얼미터 기준)로 대선 레이스 1위를 달렸던 그는 8일 공개된 조사에선 13.8%로 3위까지 내려앉아 대선 도전의 여정이 험난하다.

□ 이 대표가 차기 대선 주자로 발돋움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첫 국무총리를 맡았기 때문이다. 전남지역 4선 국회의원과 전남지사를 지냈던 그는 국무총리에 올라 전국적 인지도를 얻었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보인 촌철살인의 화법과 진중한 스타일로 큰 인기를 모았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정권 2인자 위상인 그의 지지율도 동반 추락했다. 당내 이재명 경기지사와의 경쟁에서도 열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 이는 총리 출신 정치인들의 업보 같다. 총리직을 발판으로 단숨에 대권 후보 반열에 오르지만 그 지위가 오히려 족쇄가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민주화 이후 이홍구, 이수성, 김종필, 박태준, 고건, 이해찬, 정운찬, 황교안 등 대선 후보로 거론된 총리들이 많았으나 대통령이 된 사례는 없다. 김영삼 정부에서 총리를 맡았던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대권에 가장 근접했으나 그 역시 고배를 들었다.

□ 총리는 대권을 노리는 정치인에겐 양날의 검이다. 전국적 인지도와 국정 운영 경험, 세 규합 측면에서 도약의 발판이 되지만 정권 계승자라는 위상은 독으로 돌아온다. 역대 정부 모두 임기 말에는 각종 실정으로 지지율이 추락해 그 책임까지 걸머져야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탄핵당한 박근혜 정부의 총리라는 굴레를 벗기 어렵다. 더군다나 대통령의 그늘에 가려 자기 색깔을 갖기 어려운 것도 총리 직의 정치적 한계다. 이런 장단점을 고려하면 대권보다 당권에 집중해 킹 메이커 역할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처럼 보인다. 이해찬 전 총리가 가장 성공적인 행보를 걸은 셈이다.

송용창 논설위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