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바야흐로 ESG의 시대다. 기업, 증시, 정부, 미디어 등 모든 곳에서 ESG를 얘기한다. 대세로 자리잡은 'ESG의 경영학'을 하나씩 배워본다.
최근 들어 언론에선 ESG관련 기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주로 ESG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ESG 관련 금융상품 시장의 크기도 획기적으로 커져갈 뿐 아니라, 기업에서도 ESG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것이 주된 내용들이다.
작년 이맘때만 해도 ESG는 생경한 단어였다. 불과 1년 사이에 기업과 금융권, 언론에서 ESG가 이렇게 중요한 화두가 되리라고 예상한 사람은 아마 많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ESG가 대세라고 해도, 아직 그 본질에 대한 대중적 이해도는 높지 않다. ESG의 기초부터 다시 짚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ESG의 사전적 정의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의만으로는 명쾌하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ESG경영을 잘 하는 기업을 '착한 기업'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환경을 생각하고 사회의 발전과 함께 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을 하는 것이니 '착한 경영'으로 표현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ESG를 착한 경영으로 설명하면 단어적 의미는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몰라도, ESG 수준이 좋은 회사가 앞으로 성장할 회사이기 때문에 이 회사의 주식에 투자를 해야한다는 말까지는 쉽게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 대다수 사람들은 '착한 기업'을 칭찬은 해도, 돈을 잘 벌 수 있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실제로 자신의 돈을 투자할 때에는 '착함의 정도'를 기준으로 투자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ESG를 잘 관리하는 기업이 결과적으로는 '착한 경영'과 비슷하겠지만 또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ESG를 잘 관리하는 기업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환경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기업이다. 즉, 선천적으로 착하기 때문에 착한 경영을 하는 회사가 아니라, 착한 경영방침을 가져야만 지속 가능하게 된 경영 환경에 빨리 순응한 결과, '착해진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ESG를 중시하는 기업은 환경문제에 좀 더 적극적이게 된다. 환경규제가 날로 강화될 것이며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제적으로 친환경제품을 개발하고, 친환경 제조공정에 대한 투자도 선제적으로 강화하게 된다. 어차피 하게 될 일이라면, 차라리 자발적으로 좀 더 일찍 해서 칭찬받는 것이 좋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소비자들에게도 좋은 이미지가 형성되어 제품판매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ESG의 각종 지표를 관리하기 시작하면 기업은 사회의 변화된 가치관에도 관심을 가지게 된다. 최근 민감해진 공정과 정의의 문제에 대해서도 매우 적극적으로 고려하면서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가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오히려 기업이 칭찬과 존경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자사의 정책을 세워 나간다. 고객에게 신뢰를 받게 되는 덤이 따라오는 것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투자자들이 중요시하는 투명 경영에도 선제적으로 나선다. 투자자의 신뢰가 있어야만 주가가 오르고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기본이고 실제로 글로벌 대형 기관투자가들에게는 ESG의 수준을 투자 결정 시 필수 척도로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다.
과거 착한 기업이 되기 위해 해오던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이 선택적으로 실행의 크기와 범위를 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ESG는 기업이 선택할 문제가 아니다. 기업의 경영환경이 이젠 ESG를 필수사항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