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지구의 바다, 우리의 식탁 위에 외계 지성이 살고 있었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어렵고 낯선 과학책을 수다 떨 듯 쉽고 재미있게 풀어냅니다. ‘읽어본다, SF’를 썼던 지식큐레이터(YG와 JYP의 책걸상 팟캐스트 진행자) 강양구씨가 '한국일보'에 4주마다 금요일에 글을 씁니다.
한때 인간을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 즉, 호모 파베르(Homo Faber)로 정의하던 때가 있었다. 아프리카 곰베 밀림에서 제인 구달이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나서 이 정의는 난센스가 되었다. 구달의 스승 루이스 리키는 이 소식을 전해 듣고 나서 이렇게 대꾸했다. “인간을 다시 정의하든가, 도구를 다시 정의하든가, 침팬지를 인간으로 받아들이든가….”
침팬지 말고도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은 여럿이다. 그 가운데 가장 당혹스러운 동물이 바로 연체동물 문어다. 뜬금없이 나온 문어에 놀란 독자가 있다면, 지금 생각하는 그 문어가 맞다. 푸짐한 해물탕에도 들어가고, 숙회로 초장에도 찍어 먹는 그 문어가 바로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이다.
인도네시아의 야생 문어는 사람이 먹고 바다에 버린 코코넛 껍데기 반쪽 두 개를 엇갈리게 포개서 가지고 다닌다. 놀랍게도, 문어는 필요할 때마다 코코넛 껍데기를 집처럼 숨는 용도로 사용한다. 같은 연체동물에 속한 달팽이가 평생 지고 다니는 석회질 껍데기(달팽이 집) 대신 코코넛 껍데기를 가지고 다니다 필요할 때마다 조립해서 이용하는 것이다.
문어는 세계 곳곳에서 수족관 뚜껑을 열고 수시로 탈출을 감행하고, 형광등이나 스위치에 물을 쏴서 자신을 불편하게 하는 인공조명을 제거한다. 그래서 베테랑 문어 사육사는 아예 상당히 정교한 장난감을 만들어서 수조에 넣어준다. 장난감과 씨름하는 데에 집중하는 문어는 눈앞에 좋아하는 먹잇감을 흔들어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이뿐만이 아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 사이 몽고메리가 ‘문어의 영혼’(글항아리)에서 고백했듯이, 문어는 사람과 일 대 일로 교감한다. 문어는 자신과 교류한 사람을 기억해서 정확하게 알아본다. 마치 까치(동양)나 까마귀(서양)가 은혜를 갚듯이 문어는 친근한 사람의 피부를 여덟 개의 다리로 사랑스럽게 어루만진다. (어쩌면 맛을 보는 걸 수도 있다.)
이 어루만짐을 한 번이라도 경험한 사람은 마치 아미가 BTS에게 그러듯이 문어의 매력에 빠져서 헤어나오지를 못한다. 몽고메리는 '문어의 영혼'에서 그 매혹적인 경험을 생생하게 전한다. 그는 약물 중독, 발달 장애 등으로 상처받은 사람들이 아쿠아리움에서 문어와 교감하며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는 모습을 그린다. 감동적이다.
아직은 소수에 불과한 문어의 팬 가운데 의식을 연구하는 철학자 피터 고프리스미스도 있다. (몽고메리와 친구 사이다.) ‘아더 마인즈’는 이 철학자가 문어를 초점에 놓고서 의식의 기원을 탐구해본 책이다. 그는 공공연하게 “문어와의 교류는 지성을 가진 외계인과 만나는 일과 가장 비슷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문어는 몸속에 5억 개의 신경 세포(neuron)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신경 세포 약 1,000억 개와는 비교할 수 없지만, 개 같은 포유류와는 비슷한 수준이다. 더구나 문어의 신경 세포는 뇌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여덟 개의 다리에도 흩어져 있다. 문어의 뇌와 여덟 개의 다리는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독립적으로 기능한다. 꼬리가 아니라 뇌가 아홉 개다.
인간과 문어는 5~6억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서 진화했다. 이 수억 년의 시간 동안 인간과 문어는 전혀 다른 환경에서도 비슷한 구조의 눈을 가지게 되었다. (단, 몸의 색을 시도 때도 없이 바꿀 수 있는 문어는 역설적으로 색맹이다) 여기에 더해서 인간과 문어는 각각 육지와 바다에 사는 어떤 동물보다도 복잡한 신경계를 발전시켰다.
고프리스미스는 ‘아더 마인즈’에서 이런 질문을 던진다. 도대체 문어가 이렇게 복잡한 신경계를 가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문어는 어떤 다른 마음(Other Minds)을 가지게 되었을까? 그 문어와 인간의 의식은 어떤 점에서 같고 또 다를까? 하나 같이 간단치 않은 질문이다.
몽고메리의 ‘문어의 영혼’과 고프리스미스의 ‘아더 마인즈’를 읽고 나서부터는 문어가 뒤집혀서 들어있는 탕이나 문어 숙회를 마음 편하게 먹기가 어려워졌다. 아니나 다를까, 유럽연합(EU)에서는 이 특별한 동물을 일종의 ‘명예 척추동물’로 간주하고 동물 실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단다.
우주 어딘가에 있으리라 여겼던 지성을 가진 외계인이 지구의 바다, 혹은 우리의 식탁 위에 있었다니 얼마나 놀라운가. 그나저나, 마지막으로 떠나지 않은 불편한 질문 하나. 인간과 문어가 교감하고 소통하는 일이 정말로 가능할까. 혹시 우리는 문어마저 인간화해서 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문어가 된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과학책 초심자 권유 지수: ★★★ (별 다섯 개 만점)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