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드름에 배설물까지… "폐업한 동물원 동물도 책임져주세요"

입력
2021.02.05 11:00
구독

<9>? 동물원 동물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는 샴 악어

편집자주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는 철학으로 시작된 청와대 국민청원은 많은 시민들이 동참하면서 공론의 장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말 못하는 동물은 어디에 어떻게 억울함을 호소해야 할까요. 이에 동물들의 목소리를 대신해 의견을 내는 애니청원 코너를 시작합니다.

대구의 한 동물원에서 고드름이 가득한 사육장에서 길러지는 원숭이(오른쪽)와 개인 봉사자가 준 과일을 들고 있는 원숭이 모습. 금빛실타래 블로그 캡처

대구의 한 동물원에서 고드름이 가득한 사육장에서 길러지는 원숭이(오른쪽)와 개인 봉사자가 준 과일을 들고 있는 원숭이 모습. 금빛실타래 블로그 캡처

저는 부산의 한 동물원에 살고 있는 샴 악어입니다. '멸종위기종의 국가 간 거래에 관한 협약(CITES?사이테스)' 종 1급이지요. 수년 전 경기도 한 식당 어항에 갇혀 살다 동물보호단체가 구조하면서 다행히 동물원에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제 앞날을 걱정하게 생겼습니다. 동물원이 경영난 악화 등을 이유로 휴원을 신청했기 때문입니다.

샴 악어가 낸 청원에 500명 이상이 동의하면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샴 악어가 낸 청원에 500명 이상이 동의하면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동물원이 이런 저런 이유로 휴원이나 폐업 하면서 남겨진 동물의 생명이 위태롭게 된 사례는 적지 않습니다. 강원 원주시 치악산 드림랜드 동물도 2015년 문을 닫기 전까지 굶주림에 시달렸고, 폐업 후에는 사육업자에 넘겨져 거나 식당에 팔려가 전시됐죠.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방문객이 뜸해지면서 폐원하는 체험동물원이 늘었는데요, 이후 갈 곳 없어진 동물이 폐사하는 안타까운 사연도 들려왔습니다.

2015년 한 식당 어항에서 지내던 사이테스 1급 샴 악어. 동물자유연대 제공

2015년 한 식당 어항에서 지내던 사이테스 1급 샴 악어. 동물자유연대 제공

지난 2일에는 대구 한 동물원이 10개월 가까이 동물을 방치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시가 점검에 나섰는데요. 코로나19로 인해 개원과 휴원을 반복하면서 경영이 악화된 가운데 원숭이와 낙타, 염소 등이 제대로 관리 받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꽁꽁 언 고드름이 매달린 실외 사육장에 있는 원숭이, 분변이 가득한 사육장에서 고인 물을 마시는 거위 사진 등이 공개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이런 일을 막기 위해서는 동물원을 등록만 하면 열 수 있는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바꿔야 합니다. 야생동물을 사육하는 데에는 전문성과 함께 상당한 비용이 듭니다. 운영자 자격을 꼼꼼히 보고 동물원 허가를 내줘야 한다는 거죠. 이 내용은 환경부가 발표한 동물원 계획에 포함되어 있는데요, 동물원수족관법이 개정돼야만 시행될 수 있습니다.

대구의 한 동물원 내 오물이 쌓인 사육장에서 거위가 물을 마시고 있다. 금빛실타래 블로그 캡처

대구의 한 동물원 내 오물이 쌓인 사육장에서 거위가 물을 마시고 있다. 금빛실타래 블로그 캡처


민간 동물원은 수익을 내기 위해 운영되는 곳입니다. 경영 악화는 곧바로 동물의 처우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죠. 동물원 경영이 악화됐다고 해서 정부가 나서 모든 동물을 지원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때문에 동물원을 열 때 보험에 가입하게 하거나 보증금을 예치하게 함으로써 혹시 폐업할 경우 남은 동물을 위해 사용하는 방안도 제안합니다.

2000년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났던 호랑이 크레인의 아기 때 모습. 크레인은 강원 원주시 치악드림랜드로 이동했다 해당 동물원이 경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다시 서울대공원으로 돌아와 2017년 폐사했다. 다큐멘터리 작별 캡처

2000년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났던 호랑이 크레인의 아기 때 모습. 크레인은 강원 원주시 치악드림랜드로 이동했다 해당 동물원이 경영난으로 폐업하면서 다시 서울대공원으로 돌아와 2017년 폐사했다. 다큐멘터리 작별 캡처


마지막으로 폐원에 이르기 전까지 동물원의 관리, 감독을 철저하게 해달라는 겁니다. 물론 지금도 지방자치단체가 동물원을 방문해 시설이나 사육환경, 동물의 건강상태를 점검하지만 사실 제대로 되지 않는 게 문제입니다. 위 대구 동물원 사례만 봐도 시청직원이 지난해 9차례나 방문 점검을 했지만 결국 동물 처우는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동물원이 폐업하면 동물은 생존자체가 위태롭게 됩니다. 동물원을 허가제로 전환시키고, 평소에도 제대로 관리, 감독해주세요. 또 문을 닫을 경우 남겨진 동물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주시길 요청합니다.

부산 동물원 '샴 악어'가 낸 청원에 동의하시면 포털 사이트 하단 '좋아요'를 클릭하거나 기사 원문 한국일보닷컴 기사 아래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 기사 게재 후 1주일 이내 500명 이상이 동의할 경우 해당 전문가들로부터 답변이나 조언, 자문을 전달해드립니다.

고은경 애니로그랩장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