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교체론

입력
2021.02.05 18:00
22면
구독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워싱턴=AFP 연합뉴스, 베이징=AP 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워싱턴=AFP 연합뉴스, 베이징=AP 뉴시스


1946년 2월 소련 주재 미국대사 대리였던 조지 케넌은 '긴 전문(Long Telegram)'이란 제목으로 소련에 대한 봉쇄 정책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타전했다. 외교 전문지 ‘포린어페어’에도 익명으로 게재된 이 글은 냉전시대의 신호탄이 됐다. 이를 연상시키는 ‘더 긴 전문(The Longer Telegram)'이 최근 미 매체 ‘폴리티코’에 익명으로 실렸다. 이번엔 대상이 중국이다. 시진핑 주석이 민주주의 진영의 위협이 되고 있다며 미국의 대중 전략은 시 주석을 집중 겨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공산당과 시 주석을 분리해 접근해야 한다며 사실상 ‘시진핑 교체론’을 제안했다.

□ 시 주석의 리더십과 야심에 대한 당 내부의 의견이 나뉘고 원로들도 끝없는 절대 충성 요구에 분노하고 있다는 분석은 눈길을 끈다. 오랫동안 합의된 집단지도 체제를 뒤엎고 1인 장기 독재를 구축한 시 주석에 대한 불만은 가능한 시나리오다. 2012년 보시라이 전 충칭시 서기를 중심으로 한 쿠데타설이 퍼지기도 했다. 그러나 상대국의 권력 교체를 언급하는 것은 내정 간섭이란 점에서 극도로 삼가야 할 사안이다. 중국은 거짓으로 가득한 음모론이자 신냉전을 부추긴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 ‘더 긴 전문’은 남북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국이 중국 쪽으로 전략상 표류하는 걸 막기 위한 한일 관계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중국이 북한 파키스탄 러시아 외엔 실질적 동맹이 없다고 설명하는 대목에서 나온다. 한국의 중국 경도를 막고, 동맹국이 많은 미국의 강점을 살려 중국을 압박하란 얘기다.

□ ‘긴 전문’이 냉전을 고착화하면서 한반도 분단에도 영향을 미친 점을 감안하면 ‘더 긴 전문’을 간과할 순 없다. 이미 기고문의 주문대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미국의 복귀와 동맹 강화를 선언했다. 한미 정상통화에서 한일관계가 논의된 것도 예사롭지 않다. ‘더 긴 전문’은 서두에서 우선 중국에 대해 정확히 안 뒤 장기 전략을 수립해 일관되게 이행할 것을 역설했다. 우린 중국에 대해 얼마나 알까. 잘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근거 없는 환상도 보인다. 철저한 이해와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우리만의 ‘제일 긴 전문’이 절실하다.

박일근 논설위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