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태섭 "안철수와 회동 조율 중...'제3지대 경선' 야권에 도움"

입력
2021.02.02 11:30
구독

"安 대표에게 직접 연락...조만간 만나기 희망"
安과 먼저 경선 이후 야당 최종후보와 단일화?
"판사 탄핵안 발의...사법부 길들이기 오해 불러"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 공연장 프리즘홀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금 전 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향해 1대 1 토론을 통한 단일화 경선을 제안했다. 국회사진취재단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 공연장 프리즘홀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금 전 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향해 1대 1 토론을 통한 단일화 경선을 제안했다. 국회사진취재단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게 이른바 '제3지대 경선'을 제안한 가운데 두 사람이 조만간 회동할 것으로 보인다. 금 전 의원은 제3지대 경선이 "야권 전체에 도움이 되는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금 전 의원은 2일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출마 선언을 하면서 공개적으로 (제3지대 경선을) 제안했지만 또 직접 말씀드리는 게 예의이기 때문에 어제 (안 대표가) 연락이 오면 만나시겠다고 하는 얘기를 듣고 직접 전화를 드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안 대표와) 통화가 돼서 제가 만나뵙자고 말씀드렸고, 일정 같은 것을 조율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조만간 만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 대표는 전날 금 전 대표의 제안에 "(금 전 의원에게) 연락이 오면 만나보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금 전 의원은 제3지대 경선에 대해 "저하고 안 대표는 우리대로 경선을 하고, 국민의힘은 국민의힘대로 경선을 하는 것"이라며 "저희가 먼저 해서 국민의힘 후보하고 대결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병행하다가 마지막에 양측에서 단일화를 하는 과정이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안 대표와의 단일화 문제를 금 전 의원이 정리해서 속으로 웃고 있을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는 질문에 "국민의힘에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고 야권 전체에 도움이 되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 입장에선 다른 당의 대표가 자기 당에 와서 경선을 하는 것도 이상하고, 자기 당 후보 결정이 안 됐는데 안 후보가 들어오는 것도 불리하다"며 "그래서 모든 것을 합리적으로 봤을 때 안 후보에게나 국민의힘에게나 저에게나 가장 합리적 제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집권세력의 독주에 대한 견제"라고 못 박았다.


"제3지대 경선 방식, 토론이 중요...온라인 방법도"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달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야권단일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달 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야권단일화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금 전 의원은 안 대표와의 경선 방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별로 어려운 게 아니다"라며 "중요한 것은 정책과 비전을 둘러싼 치열하고 생산적인 논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토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금 전 의원은 "경선 방식은 양측 후보 캠프에서 얘기해서 정할 수 있다"면서 "다만 방역 문제 때문에 온라인으로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토론한다면 시민들이 집에서 혹은 회사에서 보시면서 선택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즉 "어떻게 하면 토론 기회를 한 번이라도 더 해서 서로 얘기를 나누고 시민들한테 합리적인 선택을 하게 해드릴 수 있나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검사 출신인 금 전 의원은 최근 국회의 판사 탄핵안이 발의된 것에 "판사가 탄핵소추의 대상이긴 한데, 만약에 하려면 작년 1심 판결 직후에 했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1심 판결 있을 때부터 계속 있다가 요새 논란이 되는 사건들이 생기니까 여당이 또 법원을 비난하는 모습을 보이고 판사 탄핵까지 보이는 것은 의도가 어떻든 간에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면서 "여권에서 마음에 안 드는 판결 때문에 사법부를 길들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고 꼬집었다.

강은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