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한국 등 동아시아 코로나 백신 대응 여유롭지만..."

입력
2021.02.01 16:30
구독

"시간 두고 다른 나라 지켜보며 교훈 배워 장점"
"다만 변이 나타날 경우 취약할 수 있어"

1일 경기 평택시 한국초저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안전 유통 모의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경기 평택시 한국초저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안전 유통 모의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및 확보 속도전이 가열되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의 경우 여전히 백신 접종에 느긋하다고 외신이 주목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동아시아 국가의 느긋한 백신 접종 계획은 다른 나라들의 교훈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변이 바이러스 출현에 취약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NYT는 "한국은 5월에야 65세 이상 고령층의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일본은 2월 말까지도 최전방 의료 종사자들에 대한 백신 접종도 시작되지 않을 것"이라며 "홍콩은 2월 중순에서야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들 국가에서는 최근 감염이 확산됐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나 유럽을 황폐화시킬 정도로 (확산을) 겪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크리샨 우다야쿠마르 듀크대 글로벌헬스이노베이션센터장은 "한국, 일본, 홍콩은 강력한 공중보건 통제예방 시스템으로 질병 확산을 조절할 수 있게 된 부러운 국가들"이라며 "그래서 미국과 유럽 등 감염 확산이 심각한 나라들에서 백신 접종이 시급한 것과 달리 이들에게는 (백신 접종이) 큰 문제가 아니다"라고 전했다.

"수요, 공급 측면에서 병목 현상 일어날 수도"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가 1일 백신 초기 접종이 진행될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예방접종센터 내 접종실에 설치된 클린벤치 시연하고 있다. 클린벤치는 백신을 소분하는 장치다. 뉴스1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가 1일 백신 초기 접종이 진행될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예방접종센터 내 접종실에 설치된 클린벤치 시연하고 있다. 클린벤치는 백신을 소분하는 장치다. 뉴스1

NYT는 "백신 접종 연기는 미국과 유럽에서 행해지는 공급 문제, 냉장 보관 문제, 누가 먼저 접종할 것인가 하는 등의 문제을 보면서 시간을 갖고 배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다야쿠마르 센터장은 "병목 현상은 수요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며 "백신을 받아들이도록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지 여부, 백신 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에 도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빨리 시행할 수 있는지 여부 등에 의문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급 측면에서도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홍콩은 지난달 화이자 백신을 승인했지만, 일본과 한국은 아직 어떤 백신도 승인하지 않은 채 전체 인구 이상의 충분한 회분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제약사들과 계약을 맺고 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병 교수는 NYT에 "백신이 확보되면 한국은 그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접종을 진행할 것"이라면서도 "문제는 백신이 적시에 도착할지가 불확실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NYT는 "접종 시기가 늦어지면 앞서 접종을 시작한 다른 나라들로부터 배울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봤다. 당장 세계 최초로 접종을 시작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만 해도 백신 공급 지연으로 난리를 겪고 있다. 다만 NYT는 "더 감염력이 높고 치명적인 변이가 출현해 지금의 통제력을 잃을 위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NYT는 일본 국민의 백신 불안감이 큰 점과, 일본 정부가 7월 예정대로 도쿄 올림픽 개최를 강행하려고 하는 점에 주목했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백신 접종을 입국 필수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겠다고 밝힌 탓에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 상당수가 입국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손성원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