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음악의 '혈액형' 조성을 알면 보이는 것들

입력
2021.01.15 04:30
21면
구독

<1> '아련한 슬픔'의 E 단조

편집자주

C major(장조), D minor(단조)… 클래식 곡을 듣거나, 공연장에 갔을 때 작품 제목에 붙어 있는 의문의 영단어, 그 정체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음악에서 '조(Key)'라고 불리는 이 단어들은 노래 분위기를 함축하는 키워드입니다. 클래식 담당 장재진 기자와 지중배 지휘자가 귀에 쏙 들어오는 장ㆍ단조 이야기를 격주로 들려 드립니다.


지난해 10월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공연 프로그램북에 베토벤 교향곡 5번의 제목이 영문으로 표시돼 있다. 파란색 네모 안의 'C minor(단조)'는 이 작품의 조성을 의미한다. 장재진 기자

지난해 10월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공연 프로그램북에 베토벤 교향곡 5번의 제목이 영문으로 표시돼 있다. 파란색 네모 안의 'C minor(단조)'는 이 작품의 조성을 의미한다. 장재진 기자


조성은 음악의 혈액형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클래식 작품,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 정식 명칭은 '교향곡 5번 C 단조 작품번호 67(Symphony no.5 in C minor, op.67)'이다. '교향곡(Symphony)'은 작품의 장르이고, '5번(No.)'은 작곡된 순서를, '작품번호(op.)'는 다른 곡과 구분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뜻한다. 남은 건 'C minor(마이너·단조)'라는 외계어. 그 정체는 '조성(調性ㆍTonality)'이다. 비유하자면 이 교향곡의 '혈액형'으로 볼 수 있다. 혈액형으로 누군가의 성격을 추정하듯, 조성을 알면 곡 분위기를 미리 상상 가능하다.


장재진(이하 장): 조성은 학창시절 음악시간에나 들었을 법한 단어다. '장조(Major)'는 기쁘고, '단조(Minor)'는 슬픈 분위기라고 배웠던 기억은 나는데, 앞에 A, B, C 등 알파벳이 붙으니 복잡하다.

지중배(지): 쉽게 말해 조성은 어떤 음악의 정체성이다. 서양음악의 음(표)들은 정해진 특정 방식(음계)으로 조합돼 곡으로 탄생한다. 요리에 비유하자면 식재료를 어떤 레시피로 섞느냐에 따라 완성되는 음식이 달라지는 이치다. 모든 조성은 각자 고유한 음계에 기반한다. 그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음을 '으뜸음(Tonic)'이라고 부른다. 음식으로 치면 맛을 좌우하는 핵심 재료다. 국수를 만들 때 육수 재료로 돼지고기와 멸치 중 어느 것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국물 맛이 달라지는 것처럼. 각각의 장조, 단조 앞에 붙은 알파벳은 바로 으뜸음의 이름이다. 예컨대 C 단조는 '도(C)'를 기초로 만들어진 음계다. '도'맛이 나는 음악이다.


음계는 음(표)들을 배열한 방식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C), 레(D), 미(E), 파(F), 솔(G), 라(A), 시(B), 도(C)'로 이뤄지는 음의 전개는 'C 장조'의 음계다. C 장조에서 으뜸음은 '도'다. 게티이미지 뱅크

음계는 음(표)들을 배열한 방식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C), 레(D), 미(E), 파(F), 솔(G), 라(A), 시(B), 도(C)'로 이뤄지는 음의 전개는 'C 장조'의 음계다. C 장조에서 으뜸음은 '도'다. 게티이미지 뱅크


: 그럼 음악에는 어떤 조성들이 있을까.

: 주로 쓰이는 조성은 대략 20여개 수준이다. 가장 기본적인 C 장조부터, E플랫 단조까지 다양하다. 그리고 각 조성은 '조표(Key signature)'와 짝을 이루는데, 악보 맨앞에 특정 음을 반음 올리는 샾(#)이나, 반음 내리는 플랫(♭)이 붙는 위치, 개수에 따라 조표가 달라진다.

: 음악 전공자도 아닌데 일반인이 조성을 이해하면 뭐가 좋을까.

: 외국에서 여행을 하다가 독특한 건축물의 겉모습(조성)을 보면, 외관을 통해 그 집의 용도나, 거주자(작품 분위기)를 추리해 볼 수 있는 원리와 비슷하다. 조성을 알면 작곡가의 의도와 숨겨진 이야기를 머리속에 그려볼 수 있다. 지금 내 기분에 어울리는 곡을 선곡할 때도 도움이 된다. 각각의 조성은 고유의 음계 특성으로 인해 듣는 사람에게 특정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현실 대변하는 E 단조


'아련한 슬픔'을 자아내는 E 단조.

'아련한 슬픔'을 자아내는 E 단조.


: 코로나19가 현재진행형인 요즘, 새해여도 우울하기만 하다. 이 계절과 어울리는 조성이 있다면.

: 'E 단조'가 먼저 떠올랐다. 높은음자리표 기준 '파(F)'자리에 샾이 하나 붙은 조성이다. E 단조의 으뜸음은 '미(E)'다. 이렇게 쓰여진 곡들은 대체로 '아련한 슬픔'을 자아낸다. 희망 가득한 1월이지만, 팬데믹의 절망도 가시지 않은 상황을 대변하는 듯하다.

: 그래서일까, 서울시립교향악단은 21일부터 이틀간 롯데콘서트홀에서 '슬픔'이라는 부제가 붙은 하이든 교향곡 44번을 연주한다. E 단조의 곡이다. 새해를 여는 공연 치곤 이례적인 프로그램이다. 실제로 서울시향 측은 선곡 배경을 두고 "절망 속에 길 잃은 우리의 모습을 대면하고, 솔직하게 애도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 하이든 작품이 생소하다면 비틀즈의 '일리노어 릭비'나 김광석의 '일어나'를 떠올려 보자. 이 노래들도 E 단조로 작곡됐는데, 마음을 움직이게 만드는 멜랑콜리함이 들어있다.

러시아가 사랑한 감성

: 러시아 작곡가들의 작품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조성이다. 실제로 다음달 4일 KBS교향악단이 연주하는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과 7월, 9월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연주하는 차이코프스키 교향곡 5번,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0번이 모두 E 단조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작곡가들이기도 하다.

: 서유럽에서 러시아 정서를 가진 음악을 지휘했을 때 오케스트라와 관객들로부터 호평을 들었던 기억이 난다. 한국 음악인들이 그런 분위기를 표현하는데 탁월하다는 것이다. 통기타와 연주되며 국내에서 오랜시간 사랑받은 대중가요들이 E 단조를 자주 썼고, 한국전쟁 전후 러시아 번안가요들이 사랑받았던 역사적 배경과 무방하지 않을 듯 하다. 알게모르게 우리 DNA 속에는 E 단조와의 친밀함이 녹아 있었던 것이다.


지난해 8월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0교향악축제'에서 지중배(오른쪽) 지휘자가 첼리스트 이상은(왼쪽), KBS교향악단과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하고 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E 단조 작품 중 하나로, 아련한 첼로 선율과 차분한 오케스트라의 합주가 심금을 울린다. 예술의전당 제공

지난해 8월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0교향악축제'에서 지중배(오른쪽) 지휘자가 첼리스트 이상은(왼쪽), KBS교향악단과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하고 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E 단조 작품 중 하나로, 아련한 첼로 선율과 차분한 오케스트라의 합주가 심금을 울린다. 예술의전당 제공



장재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