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사과하고, 경질하고, 호응하고…'정치인' 문 대통령이 변했다

입력
2021.01.12 16:10
5면
구독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0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하는 연설문을 생방송으로 발표하기에 앞서 미소를 짓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10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하는 연설문을 생방송으로 발표하기에 앞서 미소를 짓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변하고 있다. 정치적ㆍ정책적 책임이 분명한 사안에도 거리두기 하던 모습을 벗었다. 직접 뛰어들고 해결함으로써 '불통' 이미지를 물리치려고 작정한 듯하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12일 "요즘처럼 VIP(대통령)가 여론에 예민하게 반응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단적인 예가 11일 발표한 신년사다. 문 대통령은 "주거 문제의 어려움으로 낙심이 큰 국민들께는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정책 실기론에도 '자신 있다'고 했던 문 대통령은 집권 3년 8개월 만에 고개를 숙였다. 문 대통령이 싫어한다는 '문책성 인사' 사례도 쌓이고 있다.

①민심 심상찮다? 사과한다

문 대통령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윤석열 검찰총장 몰아내기' 국면에서 세 차례나 사과했다. "죄송한 마음"(지난해 12월 7일)→"매우 송구"(같은 달 16일)→"사과 말씀"(25일)등 사과 수위도 매번 끌어올렸다. 사과 시점이 빨랐다고는 볼 순 없지만, 문 대통령으로선 파격이었다.

그간 문 대통령은 대체로 스스로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사안에 대해 사과했다. "폭우로 인한 인명 피해에 송구하다"(지난해 8월), "중앙사고수습본부 수고에 늘 미안하다"(9월) 등 천재지변에 대해 사과하면서도 정작 '대통령의 말과 행동'이 필요할 때는 침묵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달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이임사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신현수 민정수석, 김종호 전 민정수석, 유영민 비서실장. 왕태석 선임기자

지난달 31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이임사를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신현수 민정수석, 김종호 전 민정수석, 유영민 비서실장. 왕태석 선임기자


②잘못하면? 경질한다

"국면 전환용 인위적 인사는 없다." "책임을 떠넘기는 스타일이 아니다." 문 대통령 인사 스타일에 대해 참모나 측근들이 단골로 하는 말이다. '특정인을 경질하라'는 요구에 문 대통령은 좀처럼 반응하지 않았다. 논란으로부터 시차를 두고 인사를 단행해 '명예 퇴진'처럼 보이게 하는 패턴이 이어졌다.

최근 인사는 결이 달랐다. 김종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자진 사퇴' 형식을 취했지만, 청와대는 "당사자가 검찰 개혁 과정의 혼란에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라고 굳이 부연했다. 추ㆍ윤 갈등 국면에서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한 책임을 분명히 물은 것이다. 문 대통령은 사표를 바로 다음날 수리해 문책성 인사임을 못박기도 했다. 정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이건 경질이다'를 보여주며 한 인사는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추 장관도 사의 표명 사실도 청와대가 먼저 알렸다. '내보내겠다'는 문 대통령 의중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지난해 29일 청와대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 임명장 수여식에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29일 청와대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 임명장 수여식에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③오해 있다면? 바꾼다

문 대통령은 7일 각계 신년인사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새해는 '회복의 해'입니다. '통합의 해'입니다. '도약의 해'입니다." '통합'이 '이명박ㆍ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으로 해석되자, 나흘 뒤 신년사에선 '통합' 대신 '포용'을 넣었다. 사면에 부정적인 여론에 반응하는 쪽을 택한 것이다.

지난달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주면서 문 대통령은 "'구의역 김 군'과 관련한 발언은 충분히 비판 받을 만했다"고 질책했다. 당부나 격려가 아닌 꾸지람으로 국무위원을 맞은 건 이례적이다. 정부 관계자는 "변 장관을 임명하면서도 치부에 눈감지 않았음을 보여 준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 출신은 안 된다'는 원칙을 깨고 신현수 민정수석을 임명한 것도 역설적으로 문 대통령이 '유연해진'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의 '변신'을 집권 하반기에 접어들며 다급해하는 징후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다.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달 이후 30%대로 내려앉았다. 지지율을 다시 끌어올리지 못하면 국정동력을 급속히 잃을 수밖에 없다.


신은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