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나도 수소, 배터리... "지나친 쏠림" 괜찮나요?

입력
2021.01.13 04:30
수정
2021.01.13 07:15
2면

전기차 배터리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기차 배터리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근 국내 주요 대기업그룹들의 최우선 관심 분야는 '그린(Green)'이다. 세계 주요국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하고, 관련 정책과 지원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의 투자가 전기차, 배터리, 수소 등 특정 분야로만 쏠리면 오히려 전반적인 산업 경쟁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연초 국내 10대 그룹 신년사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화두는 '친환경'이었다. 특히 현대차, 롯데, 포스코, 한화 등은 주요 미래성장 동력원으로 친환경 분야를 꼽으며 천문학적인 규모의 중장기 투자도 단행키로 했다.

이와 같이 친환경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커지는 것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2050년까지, 중국의 경우 2060년까지 탄소배출을 '제로(0)'로 하겠다고 선언했다. 스웨덴, 영국, 프랑스 등 일부 국가들은 탄소중립을 법제화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12월 추진전략안을 발표했다. 또 2025년까지 73조4,000억원을 투입해 인프라, 에너지, 녹색산업을 키우는 '그린뉴딜'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2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2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하지만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투자 방향이 한쪽으로만 쏠리는 것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산업·기업 간의 유기적인 조화를 고려한 투자가 이뤄져야 하지만, 배터리, 수소전기차 등 각각의 사업에 대한 단편적인 투자만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산업 군이 충분한 투자를 받지 못해 좌초되거나,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이 뒤쳐질 수도 있다. 실제 자동차 산업의 경우 전기차, 수소전기차에 대한 투자 지원은 활발하지만, 기존 자동차 부품이나 소재·장비, 자율주행 등 다른 분야는 신규 투자유치가 힘든 상황이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를 못팔게 되는데, 우리 자동차, 에너지 산업 측면에서 득실을 잘 따져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친환경 산업 투자는 미래 시장의 성장성을 바라보고 하는 것이지만,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산업 구조에서는 현실적 한계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류종은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