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때려 美 압박' 이란... 미국, 또 군사압박 강도 높일까

입력
2021.01.05 18:30
구독

국무부 "이란, 페르시아만 항행 자유 위협"
니미츠호·B-52 압박했던 추가 카드도 관심


청해부대 최영함이 5일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선박 나포 상황 대응하기 위해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했다. 사진은 2019년 최영함의 임무수행 모습. 연합뉴스

청해부대 최영함이 5일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선박 나포 상황 대응하기 위해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했다. 사진은 2019년 최영함의 임무수행 모습. 연합뉴스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에 미국도 규탄 입장을 밝혔다. 이번 나포는 우라늄 농축 농도 20%로 상향, 가셈 솔레이마니 전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 폭사 1주기 등 최근 미국과 이란 간 긴장 고조 상황과 맞물려 더 주목 받고 있다. 이란이 한국을 먼저 때리기는 했지만 결국 목표는 미국이라는 점 때문에 미국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상황이다.

미 국무부는 4일(현지시간) 이란의 도발과 관련해 두 가지 입장을 내놨다. 한국 선박 나포에 대해선 “우리는 유조선 억류를 즉각 해제하라는 한국의 요구에 동참한다”며 “이란 정권은 국제사회의 제재 압력 완화를 얻어내려는 명백한 시도의 일환으로 페르시아만(걸프만)에서 항행의 권리와 자유를 계속 위협해왔다”고 비판했다. 또 이란이 포르도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농도를 20%까지 강화하는 조치를 두고선 “명백한 핵 강탈 강화 시도”라고 지적했다.

이란의 한국 선박 나포는 제재 완화 등 차기 바이든 행정부를 겨냥한 협상 카드 확보 전략으로 읽힌다.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 바버라 슬레이빈 이란 이니셔티브 미래 국장은 “이란은 바이든이 타협에 나서도록 지렛대를 찾고 있다”며 “미국의 제재 때문에 한국 은행에 동결된 원유 대금에 접근하기 위해 바이든을 설득하도록 한국에 압력을 넣는 방식”이라고 분석했다.

임기가 2주 남은 트럼프 행정부 역시 물러날 뜻이 없어 당분간 대립이 격해질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이란핵합의(JCPOAㆍ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탈퇴했고, 지난해 초에는 솔레이마니 전 사령관을 무인기 정밀 폭격으로 암살했다. 또 지난해 말 지역 내 이란의 경쟁자인 이슬람 수니파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를 지원하는 등 이란 압박 작전에 외교력을 집중해왔다.

이번 나포 사건 직전에도 미국의 이란 압박은 강화되고 있었다. 전략폭격기 B-52 2대를 걸프 해역에 출격시킨 뒤 이를 공개했고, 지난 3일에는 미국으로 귀환하려던 항공모함 니미츠호를 이란 근처에 계속 배치하기로 계획을 바꾸기도 했다. 이란이 미국을 상대로 직접 도발에 나선다면 군사 대치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이미 JCPOA 협상 복귀를 공표한 상황이나 이번 도발로 유화책만 펴기도 어렵게 됐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가 3일 미 CNN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핵협상에 더해 탄도미사일 문제도 다루겠다고 밝히는 등 벌써부터 기싸움도 시작됐다. CNN은 “미국의 동맹에 충분히 (이란의) 메시지가 전달됐고, 모든 사안은 연결됐다”고 분석했다.

워싱턴= 정상원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