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장혜영 “카메라 꺼지면 꼰대 되는 의원들… ‘반말 마세요’ 말하니 효과적”

입력
2020.06.12 04:30
6면
구독

[2030 기자들이 묻다] 장혜영 정의당 혁신위원장

“정의당 학습된 무력감, 변화 필요… 심상정 대체 가능하게 시스템 정비해야”

정의당 혁신위원장인 장혜영 의원이 1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정의당 혁신위원장인 장혜영 의원이 1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반말하지 마세요!”

정의당 초선 의원인 장혜영(33) 혁신위원장은 자신을 ‘하대’하는 동료 의원들을 참지 않고 이렇게 받아 친다. 나이, 선수가 많은 국회의원이 ‘어른 대접’을 받는 여의도 꼰대 문법에 반기를 든 것이다. 장 의원은 2011년 연세대 재학 중 명문대 기득권을 비판하는 대자보를 써 붙이고 자퇴해 화제를 뿌렸고, 다큐멘터리 감독, 유튜버, 싱어송라이터를 거쳐 국회에 입성했다.

지난해 10월 정의당에 입당한 장 의원의 정치 구력은 9개월. 정의당은 그런 그를 ‘혁신의 아이콘’으로 낙점했다. 정의당은 21대 총선에서 6석을 얻는데 그쳐 난파 직전이다. 정치 신인ㆍ30대ㆍ여성이라는 ‘정치권 3대 악조건’을 두루 갖춘 장 의원의 어깨에 정의당의 미래를 다시 쓰는 무거운 책임이 놓였다. 장 의원을 한국일보 정치부 2030세대 기자 4명이 인터뷰했다. 그는 역시나 거침없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여의도는 ‘꼰대 문화’의 온상이라는데.

“카메라 버튼과 반말 스위치가 연결돼 있는 곳인가 싶다. 놀랍게도 너무나 많은 의원들이 카메라가 꺼지면 내게 반말을 한다. 그 분들에게 ‘반말하지 마세요. 아름다운 존댓말이 있습니다’라고 한다. 그러면 당황해 한다. 완곡하게도 말해보고, 다른 사람에게 전해 달라고도 해 봤는데, 직접 말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의당은 ‘꼰대 청정 지역’인가.

“절대 아니다. 토론에 들어가면 조금 무섭기까지 하다. 똑똑한 누군가 앞에서 위축되는 될 때의 느낌이다. ‘무서운 정의당’을 ‘상냥한 정의당’으로 바꾸는 게 혁신위원장으로서의 꿈이다. 정의당은 밖에서 보는 것보다 훨씬 더 지쳐 있다. 학습된 무력감이 있다. 질적 변화가 필요하다. 평범한 사람들이 좋아하고 지지하는 정당이 돼야 한다.”

-정의당을 어떻게 혁신할 건가.

“심상정 대표는 놀라울 정도의 ‘에너자이저’다. 하지만 심 대표 혼자 당을 이끄는 ‘하드캐리’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누구라도 심 대표를 대체할 수 있도록 당의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아니면 심 대표처럼 이름 있는 정치인이 아무리 용을 써도 안 된다. 그걸 당도 느낀 것 같다.”

-‘장혜영은 포스트 심상정’이라는 표현을 심 대표는 어떻게 볼까.

“‘나를 밟고 가라’고 하실 분이다. 다만 알아서 비켜주는 건 없다고 생각하실 거다. 심 대표 주도로 총선 공천 청년 할당 제도를 도입한 결과 저와 류호정 의원이 당선됐다. 기회를 충분히 받았다. 이제는 저희가 열심히 하지 못하면 후배 정치인에게 미안할 거다.”

정의당 혁신위원장인 장혜영 의원이 1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정의당 혁신위원장인 장혜영 의원이 10일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정의당엔 ‘민주당 2중대’라는 악평이 종종 따라다닌다.

“민주당ㆍ정의당의 ‘민주대연합’의 요체는 야권 연합이었다. 민주당은 이제 여당이고 정의당은 야당이다. 또 하나 다른 점은 (금태섭 전 의원을 징계한) 민주당과 달리 정의당은 나를 징계하지 않는다(웃음). 정의당은 독자적인 야당의 컬러를 가져야 한다. 민주당이 할 수 없는 이야기를 또렷이 하고 앞장서서 의제를 제시하겠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기본소득제를 꺼냈다.

“책임지지 못할 말을 하고 있다. 정책 이름을 선점하려는 싸움이 실질적으로 삶에 도움이 될 지 모르겠다. 그래도 김 위원장이 열심히 논의해줬으면 좋겠다. 우리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겠다.”

-국회 기획재정위를 지원했다. 동생이 장애인이라 보건복지위를 고를 줄 알았는데.

“국회 밖에서 투쟁을 할 때 처음엔 복지부 장관 이름을 부르지만 결국엔 기획재정부 장관 이름을 부르더라. 복지를 실현할 정책적 힘을 갖기 위해 기재위에 들어가려 한다.”

-연세대 자퇴 때처럼 국회 의원회관에 대자보를 붙인다면.

“왜 정치를 하고 있는지를 묻고 싶다.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이 높은 뜻을 품고 국회에 왔을 것이다. 그 일들을 미루지 말고 바로 지금 하면 좋겠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이혜미 기자 herstory@hankookilbo.com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