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연봉 2억 준다 해도 오지 않는 ‘입원전문의’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메디스토리] <17> 내과, 흔들리는 ‘최후의 보루’
내과 인력난 해결할 대안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도 아직 자리 못 잡아
신분 불안 등에 지원 인력 적어… 전문의 경력 쌓게 제도 보완 시급
“연봉을 2억원 넘게 준다고 해도 오질 않네요.”
요즘 대형병원 내과는 비상이다. 2017년 12월부터 전공의의 수련시간이 주 80시간으로 제한돼 응급실, 중환자실, 병동 등에 의사 인력이 부족한데다가, 올 12월말부터 내과 레지던트 3년차와 4년차가 동시에 내년 2월 예정된 전문의 자격시험 준비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병원에서는 시험을 앞둔 레지던트들을 배려해 12월말부터 남은 연차를 소진해 시험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내과 전공의 수련기간은 2017년부터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돼 내년에 첫 3년제 내과 전문의가 배출된다. 제도 변경에 따른 과도기적 현상이지만, 내과 전문의들은 지속되는 내과 인력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입원전담전문의’제도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입원전담전문의는 입원환자의 초기 진찰부터 경과 관찰, 상담, 퇴원 계획 수립까지 입원부터 퇴원까지 책임지고 시행하는 전문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 10월 기준으로 36개 병원에서 175명의 입원전담전문의가 활동하고 있는데 이 중 내과전문의 수는 112명이다. 내과 전문의들은 “서울의 대형병원에서도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의사 약 85만명 중 4만4,000명이 입원전담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는 미국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토로했다.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자리잡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신분불안 때문이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입원전담전문의로 근무하고 있는 내과 전문의 A씨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아직도 시범사업에 머물고 있어 제도 지속성이 우려돼 지원을 꺼리는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병원에서도 이들을 단순히 전공의를 대체하는 인력으로 인식하고 있어, 전문의로서의 경력을 쌓고 전문성을 발휘하는 일도 쉽지 않다.
복지부는 2016년부터 입원전문전문의 시범사업을 시행하면서 특별수가를 책정하는 방식으로 이 제도를 운영하는 병원들을 지원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대학병원 내과 교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단순히 전공의 인력을 대처하는 인력이 아닌 전문성을 확보한 의료인력으로 병원에서 자리를 잡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손호준 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과장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신분에 대한 불안, 직무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업성과 평가를 이후 본사업으로 전환되면 인력확보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치중 기자 cjkim@hankookilbo.com
.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