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덕 포항시장 “지열발전, 포항지진과 무관해도 폐쇄해야”

입력
2019.03.19 15:00
수정
2019.03.19 15:20
구독

정부조사단 발표 하루 앞두고 기자간담회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때문이라 생각한다” 밝혀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이 19일 포항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포항지진 이후 진행이 중단된 포항 북구 흥해읍 지열발전 프로젝트 현장의 폐쇄를 주장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이 19일 포항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포항지진 이후 진행이 중단된 포항 북구 흥해읍 지열발전 프로젝트 현장의 폐쇄를 주장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이 지난 1년간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연관성을 연구한 정부조사연구단의 결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연관성 여부를 떠나 지열발전은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강덕 시장은 19일 오전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포항지진이 지열발전과 전혀 상관없는 자연지진이라 해도 지진이 일어난 지역에 지열발전소가 들어서는 게 말이 되느냐”며 “지열발전은 반드시 폐쇄해야 하고 정부에 부지 원상복구도 요구할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때문에 일어난 지진이라 생각한다”며 “정부에 포항 장기 앞바다 해저 이산화탄소 저장 프로젝트도 중단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의 이산화탄소(CO2) 저장 프로젝트는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바닷속 800~2,000m 깊이 사암층에 묻는 계획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포항 남구 장기면 앞바다를 CO2 저장의 적지로 보고 지난해 초 실험 주입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11월 규모 5.4의 포항지진 발생 후 “CO2 저장이 해저 지반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과 포항시민들까지 프로젝트에 반발하면서 중단된 상태다.

[저작권 한국일보]포항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설치돼 있는 정부 지열발전 프로젝트 현장. 한국일보 자료사진
[저작권 한국일보]포항 북구 흥해읍 남송리에 설치돼 있는 정부 지열발전 프로젝트 현장.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강덕 시장은 또 “정부와 국내 지질관련 학자들이 지열발전 연구 프로젝트에 본격 들어가기 전 입지 선정 때 단층 등 지반 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참여 업체가 지열발전에 경험이 전혀 없었는데도 진행되는 동안 정부나 과학자들이 모니터링에 소홀했고 포항시민들에게 지진 가능성이나 위험성을 알려주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20일 있을 정부조사단의 연구발표가 정무적인 판단이 고려돼서는 안되며 객관적이고 철저히 과학적으로 검증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며 “정부조사단의 발표에 따라 정부에 추가적인 조사를 요구할 지, 시민들과 피해 소송을 제기할 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지질학회가 주축이 된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20일 오전 10시30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지난 1년간 진행한 포항지진과 지열 발전의 연관성에 관한 조사연구 결과를 내놓는 발표회와 기자회견을 연다. 발표에는 정부조사연구단에 참여한 국내조사단과 해외조사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한다. 이날 발표회장에는 이강덕 포항시장과 서재원 포항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포항시민 200여명이 전세버스를 이용해 상경, 참석해 결과를 지켜볼 예정이다.

김정혜기자 kjh@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