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광복절 기념사, 여성독립운동가 발굴 의지

입력
2018.08.15 16:19
구독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고 손용우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해 배우자 김경희에게 친수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고 손용우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해 배우자 김경희에게 친수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광복을 위한 모든 노력에 반드시 정당한 평가와 합당한 예우를 받게 하겠다”며 묻혀진 여성 독립운동가 발굴을 거듭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제73주년 광복절 및 제70주년 정부수립 기념 경축식에서 “묻혀진 독립운동사와 독립운동가의 완전한 발굴이야말로 또 하나의 광복의 완성이라고 믿는다”며 여성 독립운동가 발굴의 의미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발굴하지 못하고 찾아내지 못한 독립운동의 역사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특히 여성의 독립운동은 더 깊숙이 묵혀왔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대표적 여성 독립운동가 이름을 하나씩 부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평양 평원고무공장의 여성 노동자였던 강주룡 지사를 먼저 호명하면서 “1931년 일제의 일방적인 임금삭감에 반대해 높이 12미터의 을밀대 지붕에 올라 농성하며 ‘여성해방, 노동해방’을 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죽음을 각오한 저항으로 지사는 출감 두 달 만에 숨을 거두고 말았지만,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해녀 항일운동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1932년 제주 구좌읍에서는 일제의 착취에 맞서 고차동, 김계석, 김옥련, 부덕량, 부춘화, 다섯 분의 해녀로 시작된 해녀 항일운동이 제주 각지 800명으로 확산됐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지난 광복절 이후 1년간 여성 독립운동가 202분을 찾아 광복의 역사에 당당하게 이름을 올렸다”며 “정부는 여성과 남성, 역할을 떠나 어떤 차별도 없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발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