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내외 경제 악재… 이 폭염에 기업도 가계도 체감경기 ‘꽁꽁’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7월 산업업황 BSI 5포인트 하락
메르스 사태 이후 최대 낙폭
최저임금 인상ㆍ근로시간 단축에
미중 무역분쟁까지 설상가상
설비투자 부문 가장 뚜렷한 위축
다음달 전망치도 내리막 ‘먹구름’
기업 체감경기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경기 상황 판단이 부정적으로 바뀐 기업의 비중이 3년 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유행 사태 이후 가장 크게 늘었고, 설비 투자 및 가동 수준도 대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경제를 추동하는 양대 축인 기업심리와 소비심리가 모두 꽁꽁 얼어붙으면서 한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도 증폭되고 있다.
31일 한국은행의 ‘7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이달 전(全)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5포인트 낮은 75로, 지난해 2월(74)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낙폭은 메르스 사태가 본격화한 2015년 6월(-9포인트) 이후 3년 1개월 만에 가장 컸다.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하는 지표로, 지수값이 기준값(100)보다 낮을수록 비관적 응답이 낙관적 응답보다 많다는 뜻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74)가 6포인트 떨어져 역시 2015년 6월 이후 최대 낙폭을 보였고, 비제조업(76) 또한 4포인트 하락했다.
기업 심리 위축은 이날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발표한 BSI에서도 확인된다. 이달 업황 BSI는 전월(91.9)보다 2.2포인트 떨어진 89.7을, 다음달 업황BSI 전망치는 이보다 더 낮은 89.2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업황BSI 전망치는 지난해 2월(87.7) 이래 최저치로, 연중 최고치(5월 100.3)와 비교하면 11포인트 이상 낮았다. 한경연 BSI는 매출 상위 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한은 BSI(3,269개 업체 대상)에 비해 경영 실적이 나은 기업들의 경기 판단을 대변한다.
BSI 급락은 양 기관 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한은 업황 BSI는 1분기 하락하다 2분기 반등세를 보였지만 다시 이달 연중 최저치로 추락했다. 한경연 BSI 역시 올 들어 전망치가 3월(100.2)과 5월(100.3) 두 차례에 걸쳐 100선을 돌파하는 등 기업들의 낙관적 기대를 보여주다 급작스레 90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기업 심리가 ‘급랭 모드’로 돌아선 이유를 두고 최저임금 인상 결정, 근로시간 단축, 미중 무역분쟁 확대 등 대내외 악재가 한꺼번에 들이쳤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달 두 기관의 기업 설문조사 기간(한은 13~20일, 한경연 17~24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1일), 미중 관세 부과 개시(6일), 내년 최저임금 10.9% 인상 결정(14일)이 연달아 시행됐다. 실제 한은 조사 결과를 보면 화학제품(-11포인트)과 자동차(-7포인트) 등 무역분쟁의 영향이 큰 수출업종의 BSI 하락폭이 특히 컸다. 또한 한은의 경영 애로사항 설문조사에선 ‘인력난 및 인건비 상승’을 꼽은 응답률(14.2%)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커졌고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라 대체 인력을 구하는 기업들이 인력난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업 체감경기 악화는 설비투자 부문에서 뚜렷하다. 한은의 제조업 BSI 세부 항목을 보면 가동률(-9포인트)과 설비투자실행(-6포인트) 부문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전자는 생산설비 가동률이 떨어졌다는 응답이, 후자는 설비투자를 계획보다 줄였다는 응답이 각각 늘었다는 의미다. 설비투자 하락은 ‘고용 감소→소비 위축→생산 위축→투자 감소’의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경기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노동 비용을 증가시키는 정책을 쓰면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 전망이 불투명한데 인건비까지 오르니 기업 입장에선 투자를 줄이는 게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여력이 있는 대기업 투자를 유도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혁신기업을 함께 육성하는 균형감 있는 산업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훈성 기자 hs0213@hankookilbo.com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