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흑산도에서 870㎞떨어진 일본 교토까지… 검은딱새 이동경로 첫 확인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인 검은딱새의 이동경로가 철새 이동연구방법 중 하나인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17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이 지난해 4월 6일 전남 신안군 흑산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해 방사한 3년 이상 된 수컷 검은딱새가 올해 4월 5일 약 870㎞ 떨어진 일본 교토의 교탄고시에서 현지 민간 조류 전문가에게 발견됐다고 17일 밝혔다.
가락지 부착조사는 조류를 포획해 가락지를 부착하고 해당 조류의 데이터(종명, 가락지번호, 연령, 성별, 포획일, 포획장소 등)를 기록한 후, 다른 지역에서 관찰될 경우 이동경로를 확인하는 보편적인 철새 연구 방법이다.
일본 민간 조류 연구원인 마코토 타카하시씨가 검은딱새를 처음으로 발견했고 이후 일본 야마시나조류연구소는 올해 4월 19일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에 발견 소식을 전했다.
검은딱새의 이번 이동경로 확인은 동남아나 중국 남부에서 월동하는 이 새가 번식을 위해 일본으로 북상할 때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경유해 이동한다는 것과 검은딱새의 수명이 최소 4년 이상임을 확인한 중요한 결과라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설명했다.
검은딱새는 봄, 가을철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이자, 한국 전역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동부에 넓게 분포하며, 인도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에서 겨울을 보낸다. 어른 새의 평균 크기는 약 13㎝이며, 주로 곤충, 거미 등을 먹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는 2005년부터 꾸준히 가락지부착조사를 통해 그동안 노랑턱멧새(한국→중국), 검은지빠귀(한국→일본), 바다직박구리(한국→대만) 등 5종의 이동경로를 밝힌 바 있다. 조류연구센터는 다도해해상, 태안해안,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에서 지금까지 252종 7만7,500여 개체를 대상으로 가락지를 부착했다.
소형 조류를 위한 가락지는 가벼운 알루미늄, 중형 조류는 강도가 높고 부식에 강한 니켈합금으로 제작되는데 대부분의 가락지는 가락지부착조사를 관장하는 국가 혹은 기관명과 고유번호가 표기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락지의 크기(010~150), 한국 우체국 사서함 번호(K.P.O. BOX 1184 KOREA), 각 가락지의 고유번호(00001~99999) 정보가 담겨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가락지를 부착한 조류를 발견하면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나 국립공원 조류연구센터에 연락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며 “이때 가락지 번호나 해당 개체의 모습이 담긴 사진, 해당 개체를 발견한 장소와 날짜, 당시 조류의 상태 등을 전달해주면 정보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조류연구센터 연구진은 해외 연구소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쇠개개비, 알락꼬리쥐발귀, 개개비, 숲새 등 14종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와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다시 발견하면서 현재까지 국내외 19종에 이르는 철새들의 이동경로를 확인했다.
박종길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장은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다양한 철새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며 “다도해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철새의 중간기착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서식지 관리와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