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중진국 진입한 동남아… 철도ㆍ도로ㆍ항만 건설 열풍

입력
2018.01.28 14:00
10면

中ㆍ日 자본 유치도 적극적

인프라ㆍ에너지 기반시설 건설 붐으로 동남아 각국 주요 도시는 최근 곳곳에서 대형 공사가 진행 중이다. 사진은 필리핀 신도시의 도로ㆍ교량 건설 현장.
인프라ㆍ에너지 기반시설 건설 붐으로 동남아 각국 주요 도시는 최근 곳곳에서 대형 공사가 진행 중이다. 사진은 필리핀 신도시의 도로ㆍ교량 건설 현장.

‘신 남방정책’으로 동남아 국가와의 협력이 강화될 경우 가장 먼저 효과가 나타날 분야는 인프라ㆍ에너지 개발이다. 이 지역은 인구와 자원은 많지만, 철도ㆍ도로ㆍ발전시설 등은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 지역 국가도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재정을 총동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중국, 일본 등으로부터의 투자자금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동남아 국가 중에서 형편이 나은 지역일수록 개발 바람이 거세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등 저소득 국가에서 벗어나 중진국에 진입한 경우 인프라 수요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태국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중장기 개발전략을 완성, 시행에 옮기고 있다. 물류 및 운송비 절감을 위해 총 534억달러를 투입한다는 내용인데, ▦도심철도 확장(141억달러) ▦고속도로 확장(149억달러) ▦수도 방콕의 대중교통 개선(213억달러) ▦공항시설 확장(14억달러) 등이 핵심이다. 또 2036년까지 발전 설비용량을 5만7,459㎿ 증설하는 계획도 추진되고 있다.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 기업과 자본이 가장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는 베트남 정부도 인프라 투자에 공격적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인프라 투자 비중이 5.7%로 이 지역 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경기 활성화와 인프라 투자를 통한 물류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노리는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인프라에 4,800억달러(약 522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남북으로 긴 국토의 특성에 맞춰 인프라 투자를 진행 중이다. 국토 북쪽에 치우친 수도 하노이와 남쪽의 경제중심지 호찌민 사이의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교통 분야에 500억달러(약 54조원)를 투입할 방침이다. 고속도로는 2030년까지 31개 노선, 6,410㎞를 새로 정비할 계획이다. 이는 현재 베트남에서 운영 중인 고속도로(길이 750㎞)의 8배에 달하는 규모다.

호찌민 인근에 새로운 국제공항을 짓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호찌민에서 북동쪽으로 40㎞가량 떨어진 곳에 ‘롱탄’ 공항을 지을 계획인데, 완공되면 동남아의 허브 공항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해안을 따라 조성된 경제특구 인프라 건설에도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베트남에는 총 18개 경제특구가 있는데 기존 특구를 한 단계 발전시킨 ‘특별경제특구’를 꽝닌성 번돈, 카인호아성 반퐁, 끼엔장성 푸꾸옥 등에 지정했다.

필리핀도 주요 도시에서 도로ㆍ항만ㆍ철도 공사가 한창이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건 ‘빈곤 탈출’을 실현하기 위해 인프라 건설에 매진하고 있다. 마닐라 인근 신도시에 고층 빌딩이 잇따라 치솟고 이들 도시를 잇는 도로와 항만시설 건설도 외국 투자자금의 유입으로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2억6,000만명에 달하는 인구를 바탕으로 ‘동남아의 맏형’을 자임하는 인도네시아도 마찬가지다. 대중적 이미지와 함께 강력한 정치적 카리스마를 지닌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자신의 경제정책인 ‘조코노믹스’의 핵심을 인프라 확충으로 잡고 있다. 게다가 2018년 아시안게임을 준비하기 위해 수도 자카르타 일원에는 다양한 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19년까지 고속도로, 철도망, 항만, 공항, 발전소 등에 4,800조루피아(385조원)를 투입할 방침이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주요 섬 사이의 항공망을 관장할 공항이 15개 신설되고, 항만도 172개나 새로 들어선다. 포화상태인 고속도로 역시 기존 807㎞에서 1,000㎞로, 철도망은 5,434㎞에서 8,692㎞로 늘어난다.

한편 동남아의 인프라 투자 열기와 관련,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국의 경우 중국ㆍ일본 대비 자금조달 능력에서 뒤지는 만큼, 무리하게 독자 진출을 추진하는 대신 중국이나 일본 자본과의 공동진출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자카르타(인도네시이)=조철환 국제부장

하노이(베트남)=정민승 특파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