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과거와 미래에서 날아온 여성의 목소리

입력
2016.07.27 14:28
페미니즘 문학의 단골 메시지 중 하나는 “남자 없이 잘 살아”다. 시와 소설의 과격한 상상력은 어느 때보다 과격한 현실과 만나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페미니즘 문학의 단골 메시지 중 하나는 “남자 없이 잘 살아”다. 시와 소설의 과격한 상상력은 어느 때보다 과격한 현실과 만나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황폐해진 영국. 몰락해가는 귀족 집안에 젊은 부부가 세를 들어온다. 아버지는 죽고 남자 형제들은 전쟁에서 사망해 집에 남은 이는 늙은 엄마와 딸뿐이다. 이사 오는 날, 집주인 딸과 세입자 남편의 눈빛이 미묘하게 엇갈리고…. 다음 전개는 예상대로 치정이다. 그러나 로맨스의 주인공은 남편이 아닌 아내! 젊은 아내 릴리안과 집주인 딸 프랜시스는 금지된 사랑에 빠져들고 여기에 충격적인 살인 사건이 맞물리며 소설은 예상치 못한 곳으로 흘러간다.

새라 워터스의 소설 ‘게스트’(자음과모음)의 내용이다. 영화 ‘아가씨’의 원작소설 ‘핑거 스미스’의 작가로 최근 국내 독자들에게도 친근해진 워터스의 단골 소재는 잘 알려졌다시피 레즈비언이다. 배경으로 1차 대전 이후를 택한 작가의 의도는 절묘하다 못해 얄궂은 데가 있다. 워터스는 ‘남자들이 일으킨 남자들의 전쟁’으로 작중 남성인물을 싹 밀어버린 뒤 그 위에 여자들의 연애를 그린다. 거리에 넘쳐나는 상이용사들은 다리를 절뚝이며 여자들을 향해 이를 갈고 구세대를 대표하는 늙은 엄마는 천지가 개벽한 줄도 모르고 여전히 딸내미 시집을 걱정하지만, 젊은 여성들은 팔을 걷어 부치고 집을 보수하며 남자 없는 세상을 씩씩하게 살아간다.

묘한 기시감은 릴리안과 프랜시스가 놀러 나간 공원에서 한 남자와 마주치는 장면에서 그 정체를 드러낸다. 릴리안에게 수작을 거는 남자를 프랜시스가 단호히 쫓아내자 남자는 한 마디를 남기고 사라진다. “여성 참정권 운동가죠?”

소설을 하나 더 보자.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단편집 ‘체체파리의 비법’(이하 체체파리ㆍ아작)이다. 표제작의 배경은 어느 먼 미래. 아내를 너무나 사랑하는 주인공은 잠시 가족과 떨어져 해충 구제법을 연구하고 있다. 아내와 친구로부터 들려온 소식은 믿을 수 없는 것들뿐이다. ‘아담의 아들들’이라는 종교단체를 위시해 전세계에서 여자들에 대한 학살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뉴델리 강에는 “여성들의 시체로 이루어진 뗏목”이 생길 지경이지만 언론은 조용하고 교황 역시 침묵한다. 서둘러 집으로 돌아오는 길, 주인공은 자기도 모르게 성적 쾌감 속에 아내의 심장에 칼을 박아 넣는 상상을 한다. “걸려버렸어, 여보.” 아내와의 통화는 그게 마지막이 되고, 알 수 없는 물질에 감염된 남자들에 의해 대대적인 페미사이드가 자행된다.

최근 국내 출간된 이 소설들은 지금 한국 사회를 달구고 있는 페미니즘의 언어와 놀랄 만큼 일치한다는 점에서 흥미를 끈다. ‘체체파리’에 등장하는 논평가의 말 “한 남자가 아내를 죽이면 살인이라고 부르지만, 충분히 많은 수가 같은 행동을 하면 생활 방식이라고 부른다”는 얼마 전 강남역 살인사건 때 제기된 ‘여성혐오 범죄냐, 아니냐’를 떠올리게 한다. 검찰은 여성혐오 범죄가 아니라고 결론 내렸지만, 페미니스트들은 이를 한 정신병자의 일탈행동이 아닌 사회 전반에 퍼진 성차별 문제라 주장했다.

‘게스트’에서 두 여성에게 추근댔던 남성의 말은 며칠 전 SNS에서 이어졌던 ‘메갈 인증 퍼레이드’와 맞물린다. “여성 참정권 운동가죠?”라는 말은 현대어로 번역하면 “페미니스트죠?”다. 페미니스트들에 따르면 최근 이 말은 “메갈이죠?”로 바뀌었다. 자기 심기를 거스른 주장을 하는 여성에게 ‘일베와 다름 없는’ 메갈이란 딱지를 붙여 입을 막으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에 스스로 메갈이란 딱지를 붙여 응수하고 있다. 영미권에서 출간된 소설들이 시공을 가로질러 (체체파리는 무려 1977년에 쓰였다)지금 한국 페미니즘에 응답하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이상한 우연은 국내 문학에서도 이어진다. 최승자, 김혜순, 김민정 등 국내 여성 시인 중 가장 선명하게 페미니스트 계열로 분류되는 이들이 지난 몇 달 간 연달아 시집을 출간했다. 김혜순 시인은 시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문학동네)에서 여성들의 언어가 없는 현실을 통탄한다. “여성을 여성의 언어로 말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여성의 언어가 따로 없으니까. 남성 시인들이 쓰는 언어를 그대로 가져다가 요리조리 회를 떠서 사용해야 하니까. 익힌 것을 날것으로 되돌리는 일이 어디 쉬운 일이겠는가.”

이에 화답하듯 5월 출범한 여성주의정보생산자조합 ‘페미디아’는 첫 책으로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를 냈다. 저자 이민경씨는 일상에서 접하는 성차별에 여성들이 맞설 수 있는 언어가 없다며 구체적인 문장을 만들어 제시했다.

김민정 시집 ‘아름답고 쓸모없기를’(문학동네)은 육두문자의 양만 놓고 봐도 요즘 페미니스트들의 쟁투 방식과 닮았다. “유방”부터 “똥꼬”까지, 거침없이 풀어 놓는 “아랫도리 사정”에 남성들은 질색하지만 이‘거친 언니’들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또 저런다 또 저렇게 병신 같은 년이란다 아고 지겨워라 여보 내가 수도 없이 말했잖수 나는 병신 같은 게 아니라 진짜 병신이라고” (‘시집 세계의 파편들’ 일부)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서 쓰여진 시와 소설이 지금 한국의 페미니즘과 실시간으로 대화하는 모습은 기묘한 우연의 일치로 보일 수 있겠지만, 실상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평화학자 정희진씨는 ‘언어가 성별을 만든다’는 글에서 최근 페미니즘 이슈를 “낡은 새로움”이라고 지칭한 바 있다. 이미 오래 전부터 목이 터져라 나왔던 이야기들, 다만 관철되지 못해 묻혀버린 목소리가 다시 그 지난한 탄생을 반복하고 있다는 말이다. “여성의 경험은 공유되지 않고 여성의 역사는 전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걸음마를 뗀 한국의 페미니즘에 문학은 어느 때보다 풍부한 언어와 상상력을 축복처럼 쏟아 붓고 있다. 1970, 80년대 문학은 노동자의 입이었다. 21세기 페미니즘에 문학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황수현 기자 sooh@hankookilobo.com

왼쪽부터 새라 워터스 소설 ‘게스트’,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단편집 ‘체체파리의 비법’, 김혜순 시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 김민정 시집 ‘아름답고 쓸모 없기를’.
왼쪽부터 새라 워터스 소설 ‘게스트’,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단편집 ‘체체파리의 비법’, 김혜순 시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 김민정 시집 ‘아름답고 쓸모 없기를’.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