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홍대 ‘일베 조각상’ 훼손…표현의 자유 절대적 권리인가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홍익대 정문에 설치돼 논란을 일으킨 ‘일베(일간베스트저장소)’ 상징 조형물이 1일 새벽 크게 훼손된 뒤 철거돼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논란을 부르고 있다.
홍익대 정문에 일베를 상징하는 조각이 세워진 건 지난달 30일. 조형물이 형상화한 손 모양은 극우 성향의 인터넷 커뮤니티 일베 회원들이 자신이 일베 회원임을 인증할 때 사용하는 손 모양이다. 일베는 존재하지만 실체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로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다’고 이름 붙인 이 작품은 이 학교 조소과 4학년 홍기하(22)씨가 제작했다. 작품은 졸업을 위해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환경조각연구’라는 수업의 과제로 만들어져 매년 열리는 홍대 야외전시회에 전시된 것이었다. 홍씨는 언론 인터뷰 등에서 “일베를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의도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일베의 실체를 보여주기 위해 제작했다’는 창작의 변은 가치중립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 조각상은 등장하자마자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특정 지역, 여성, 소수자 등의 혐오를 일종의 놀이로 여기는 이 극우단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컸던 데다, 일베 문제를 생각해보도록 만든다고 하기에는 그들의 상징을 조형물로 그대로 옮겨 놓은 작품의 표현력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술평론가 임근준씨는 “혐오를 놀이화하는 일베의 대표 코드를 높은 판(대학 정문) 위에 올려놓는 것은 (작가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일베와 그런 행위들을 기념하는 뜻이 생겨버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대 재학생 등 3명에 의해 이날 부서진 일베 조각상 위에는 “예술과 표현의 자유는 절대적인 권리가 아님을…”이라는 메모가 붙어 있었다. 타인의 존엄을 침해하는 것까지 예술 활동이라는 이유로 허용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의미다. 한 미술평론가는 “일베의 상징을 공공장소에 설치한다는 건 작가의 의도와 무관하게 피해자의 존엄성을 짓밟는 것이고 2차 가해라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현대미술에 대한 예술가들의 잘못된 인식도 이번 사태를 부른 원인이라는 지적이 있다. 일부 작가들은 “파격적인 작품으로 문제제기를 하는 것까지만 자신의 역할, 그에 대한 답은 사회가 내야 한다”는 식으로 예술과 사회적 책임을 분리해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임근준 평론가는 “예술가들이 스스로를 사회적 특수 계층으로 여기면서 미적 평가 외에 윤리적ㆍ사회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건 아주 큰 착각”이라며 “작품으로 인해 야기되는 일련의 결과물에도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각상 자체보다 예술 작품이 못마땅하다고 그것을 폭력적으로 파괴하는 행위가 더 문제라는 지적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이날 트위터에 “일베보다 더 무서운 게 이런 짓 하는 놈들”이라며 “작가의 의도와 상관 없이 작품에 ‘일베 옹호’라는 딱지를 붙이는 해석적 폭력”을 비난했다. 진 교수는 “저 정도의 표현도 허용이 안 된다면 예술가들은 사회에 대해 입 닫고 그냥 이쪽저쪽 다 만족시키는 기름장어 같은 작품이나 만들어야겠지요”라고 덧붙였다. 일베 상징 조각상이 문제가 있다면 창작자와 학교 측에 작품의 철거를 요청하고, 말과 글로서 여론을 환기시키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일베 상징물이 훼손된 후 이수홍 홍익대 조소과 학과장을 비롯한 조소과 교수들은 “졸업을 준비하는 학생의 작품이 교내에서 편가르기 식 흑백 논리에 희생됐다”며 이 사건을 계기로 “‘예술의 창의적 자유와 공공미술로서의 공론적 책임’이라는 제목으로 토론회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신은별 기자 ebshin@hankookilbo.com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