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의장, 선거구 획정 마지노선 28일로 잡은 듯

입력
2015.12.15 20:00
구독

어제 마라톤 협상서도 결론 못내

‘지역구 246석ㆍ253석안 직권상정’

본회의서 표결 처리 방안 유력

오늘 기자회견서 ‘특단 조치’ 예고

정의화(가운데) 국회의장이 15일 국회의장실에서 김무성(오른쪽)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왼쪽)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지도부와 선거구 획정을 위한 담판 협상을 중재하기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youngkoh@hankookilbo.com
정의화(가운데) 국회의장이 15일 국회의장실에서 김무성(오른쪽)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왼쪽)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 여야 지도부와 선거구 획정을 위한 담판 협상을 중재하기에 앞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youngkoh@hankookilbo.com

여야 지도부와 정의화 국회의장이 15일 국회의장실에서 선거구 획정 문제를 놓고 7시간 가까이 마라톤 협상을 했지만 합의점을 찾는데 또다시 실패했다. 정 의장은 20대 국회의원 총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이날 의장실 문을 걸어 잠그면서까지 여야의 최종 합의를 유도했지만 허사였다. 청와대가 민생ㆍ경제 법안 처리 후 선거법 처리를 공식 요구한 것도 최종 합의의 걸림돌이 됐다는 평가다.

정 의장은 협상 시작부터 선거구 획정안의 본회의 직권상정 방침을 재확인하며 여야의 합의안 마련을 압박했다. 정 의장은 회의 시작에 앞서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를 향해 “교황 선출 식으로 얘기하더라도 결판을 봤으면 좋겠다”며 회동장 문을 걸어 잠갔다.

참석자들은 도시락으로 점심 식사를 해 가며 협상에 힘을 쏟았지만,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비롯한 일부 쟁점을 두고 언성을 높이기도 하는 등 신경전을 거듭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연동형비례제 도입 반대 뜻을 분명히 하면서 투표참여 연령을 19세에서 18세로 낮추는 양보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ㆍ기업활력제고법 등 쟁점법안을 연내 처리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여야는 이날 시한이 끝나는 선거구 획정 소관 상임위인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 연장에도 실패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협상 결과 브리핑에서 “위급한 상황에 빠져드는 경제를 좀 도와야겠단 생각으로 그렇게 제안했지만 이마저도 거부됐다”고 말했다.

여야가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지만, 정 의장이 직권상정 뜻을 굳힘에 따라 최악의 상황은 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31일 이후 현행 선거구가 없어지고 예비 후보 등록이 무효가 되는 파국은 피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정 의장 측은 실무 획정 작업 등을 감안해 마지노선을 오는 28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선거법을 기준으로 해 지역구를 246석 비례대표를 54석으로 하는 안과 여야가 공감대를 이룬 지역구 253석 비례대표 47석 안을 차례로 본회의에 올려 표결 처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 의장은 16일 오전 기자회견을 통해 선거구 획정과 관련한 ‘특단의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동현기자 nani@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